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비상한너구리31
비상한너구리3122.11.08

겨울은 해가 짧아서 추운건가요?

겨울엔 해가 짧아서 추운건가요?

낮엔 태양이 계속 비추고 있는데, 더 추운것이 오니까 영하 온도까지 떨어지는것 같은데.. 근본 추운 원인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09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진 상태로 태양을 공전하기 때문에 태양의 에너지를 일정하게 받지 못합니다. 그래서 봄, 여름, 가을, 겨울의 계절이 생기게 됩니다. 잘 돌아가던 팽이가 넘어지기 전에 축이 흔들리며 비틀대며 돌아가는 것과 같습니다.

    겨울철에는 태양의 고도가 낮아져서 낮의 길이가 짧아지고, 빛이 옆방향에서 사선으로 비추기 때문에 도달하는 에너지의 양이 감소하게 되어 춥습니다.


  • 지구의 공전궤도와 지구가 23.5도 기울어져 있기때문에 나타나는 현상 입니다.

    북반구 기준으로 자전축이 태양쪽으로 기울어져 있는면 태양열을 많이 받아 북반구는 여름이고,

    남반구는 반대로 겨울이 됩니다.

    북반구의 경우 겨울이 되어 태양열을 많이 받지 못하게 되면

    저위도에 위치한 북태평양에서 불어오는 덥고 습한 기단이 힘을 잃고

    고위도의 북쪽에서 내려오는 차갑고 건조한 시베리아 기단의 세력이 강해지게됩니다.

    이런 이유로 겨울이 되면 북극의 차가운 공기의 영향으로 날씨가 추워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계절이 바뀌는 이유는 지구의 자전축이 공전 궤도면에 수직하지않고 기울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네, 겨울의 경우 해가 짧기도하고 태양과 북반구(우리나라)사이 거리가 늘어난 상태이기 때문에 태양에너지가 줄어들어 추워지는 것입니다.

    아래는 여름일 때 북반구가 태양과 가까운 상태이며, 겨울에는 자전축이 반대로 놓인 상태가 되기 때문에 북반구가 태양과 멀어져 태양에너지가 줄어듭니다.


  •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해와 멀어지는 영향도 있지만, 우리나라는 겨울철에 북쪽의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이 내려온답니다. 그 기단 자체가 추운 기운을 갖고있어서 겨울에 추운거랍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자전축 기울기 때문에 한국의 경우 겨울은 여름보다 태양과의 거리가 더 가깝지만 기울어진 상태로 인해 태양의 빛을 적게 받아서 그렇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에는 지구 자전축이 태양 반대쪽을 바라보고있기때문에 태양 입사각이 낮고 해가짧습니다.


    때문에 북반구에 도달하는 빛의 양이 줄어 북반구는 겨울이되고 남반구는 여름이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위도가 올라갈 수록 심해지기 때문에 극지방으로 갈 수록 추워집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지구가 자전축이 기울어진채 공전을 하기 때문에 계절이 바뀌게 됩니다. 겨울에는 낮이 짧고 밤이 길며, 기울어져 있어서 햇빛을 잘 못받기 때문에 춥습니다.


  • 겨울은 해가 짧아서 추운 것이 맞습니다.

    해가 짧은 이유는 태양과 거리가 멀어졌기 때문입니다.

    지구는 태양 주변을 공전하는데 타원으로 공전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여름에는 태양과 지구 사이가 가깝고 겨울에는 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