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04

과거 고려를 개국 할때 개국공신들은 어떤 혜택을 받았을까요?

과거 고려를 개국 할때 개국공신들은 어떤 혜택을 받았을까요?

갑자기 너무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고려의 개국 공신들은 어떤 혜택을 받았을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무거운도라지볶음
    무거운도라지볶음23.03.20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개국공신들 중에서 유력한 신하들이나 귀족 등에게는 고려왕조에서 중요한 지위나 공신의 자격을 부여하는 것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개국공신인 대불광대군은 고려에서 제1대 동명왕의 어머니를 거느리는 중요한 신하로 삼혔으며, 제1대 왕으로부터 대신의 권한을 받아 정치를 이끌기도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의 태조는 개국 공신들에게 주는 혜택으로 공로와 인품에 따라 개국공신 중에서 3 등급으로 나누어 혜택을 주었습니다. 일등공신에게는 엄청난 땅을 주었고, 30명에서 15명의 노비를 지급했고, 이등 공신 역시 많은 토지와 10명의 노비를 주었습니다. 그리고 삼등 공신도 엄청난 토지와 7명의 노비를 받았습니다. 또한 벼슬을 높여주었고, 공신의 후손들은 음서라는 제도를 통해 과거시험 없이 벼슬을 받을수 있도록 해주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왕건이 고려를 건국 할 때 개국 공신들에게는 일정한 혜택이 주어졌다고 합니다. . 우선 토지가 하사되었는데요. 300경(頃)의 땅이 주어 졌습니다. 태조 대에 활약했던 공신의 후손들은 과거를 치르지 않고 벼슬을 할 수 있는 음서(蔭敍)의 혜택을 받기도 했다고 합니다. 1등 공신에는 홍유․배현경․신숭겸․복지겸 등 4명, 2등 공신에는 견권․권능식․권신․염상․김락․연주․마란 등 7명이 올라서 금은그릇․비단․능라․포백이 지급되었으며, 3등 공신에는 무려 2,000명이나 기록 되었는데 그 인원수만 기록되어 있습니다.

    한편 개국공신에는 977년(경종 2) 훈전(勳田) 50~20결(結)이 각각 지급되었다고 합니다. 1등 공신은 고작 4명에 불과한데 이는 이들이 왕건과 함께 피 한방울 흘리지 않고 혁명을 일으켜 궁예를 몰아내고 왕건을 추대하여 초기 고려를 세우는데 기여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의 개국공신에는. 홍유(洪儒)·배현경(裵玄慶)·신숭겸(申崇謙)·복지겸(卜智謙) 등이 책록되었다. 이등공신으로는 권능식(權能寔)·권신(權愼)·염상(廉湘)·김낙(金樂)·마난(麻煖) 등이 책록되었으며, 삼등공신에는 무려 2,000인이나 책록되었다.

    위와 같이 3등분하여 포상하였다.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개국공신들은 일단 큰 권력과 명예, 부를 거머쥡니다. 그러다 강한 왕권을 바라는 왕이 출현하면 제거당하거나 숙청당하는 비운을 겪곤 했습니다. 고려 전기의 지배층은 문벌귀족입니다. 이들은 왕건과 같이 개국에 직접 뛰어든 인물들도 있지만 지방 호족으로 왕건에 협조해 일정 지분을 확보한 이들이 대부분입니다. 이들은 공신들이거나 공신의 후손들로 공음전을 받고 음서 혜택을 받아 관직에 쉽게 진출하고 또 고위관직이 되었지요.

    고려 초기 왕건 이후 후계구도 및 왕위계승에 불안정성이 있었는데 이를 해결한 왕이 광종입니다. 그는 노비안검법을 제정해 호족들이나 공신세력이 사회경제적으로 더 크지 못하게 하고 국가재정확보를 꾀했습니다. 또 과거제를 도입해 능력에 따른 인재등용을 도모했습니다. 무엇보다 광종은 많은 공신세력을 숙청해 왕권강화에 힘썼지요.

    이는 조선의 경우도 비슷합니다. 대부분은 무던하게 권세를 누리지만 정도전과 같이 강한 왕권을 바라는 이방원에게 제거된 것처럼 말이죠. 즉 개국까지는 죽음도 함께하는 신뢰관계와 충성관계가 성립하지만 그 공로로 인하여 집권 이후에는 왕권을 위협하는 장애물이자 제거대상이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