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비인후과 안진검사 후 어지러움
제가 요새 어지럼증이 심해져서 이비인후과에 가서 안진검사를 하고 왔는데요
하기 전에도 증상이 살짝 있었긴 했는데 검사 후 놀이기구 탄 후에 살짝 어지러움 그 느낌이 남아있는데 곧 없어지나요?
검사결과는 이비인후과적 문제는 아니라고 하셨어요.동공이 흔들리거나 다른 이상 소견은 안 보인다고 하시더라고요.
그리고 안진검사 할때 제가 눈에 힘을 주고 한곳만 바라보고 있었는데 그런다고 검사 결과가 달라지는건 아닌건가요? 병적인 문제가 있으면 안구의 움직임은 제가 통제를 한다고해도 검사에서 나타나나요?
안녕하세요.
안진 검사에서 눈에 힘을 주고 있다고 해서 검사 결과가 달라지는 것은 아니며
검사 결과에 차이는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말초성 어지럼증을 보기 위해 시행하는 검사로
이상을 보이지 않는 경우, 병적인 경우는 아님을 의미하며 현재 복용 중인 항히스타민제로
인해서도 어지럼증이 있을 수 있어 약물로 인한 가능성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
이비인후과에서 시행하는 안진검사는 일종의 어지럼증을 유발시키는 검사입니다. 때문에 검사 과정이 다소 투박하게 느껴질 수 있고 그 때문에 어지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검사를 시행할 때 의도적으로 안구를 통제하셨다면 결과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안구진탕(안진)은 자기 의지대로 조절되는 것은 아닙니다. 병적인 상태라면 검사를 하면 나오게 되어 있습니다. 어지러운 증상은 여러가지 원인이 가능합니다. 이석증이나 전정신경염일 경우 갑자기 서있기 힘들 정도의 어지러움이 발생합니다. 이비인후과에서 진료를 받아 보시면 됩니다. 그 외에 뇌에 문제가 있어도 어지러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소뇌쪽에 경색이나 출혈이 있다면 균형감각에 이상이 생기면서 어지러움이 유발됩니다. 이럴 때는 신경과에서 진료를 보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안진검사등은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없는 신경학적 이상을 관찰하는 것이므로 노력을 하더라도 검사상에서는 나타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어지러움증의 원인은 크게 소뇌의 문제인 중추성 혹은 전정기관이라 불리는 달팽이관에서 발생하는 말초성 현훈 두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중추성 병변은 주로 뇌졸중 등으로 인한 뇌혈관 질환에 의해 2차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젊은 나이대에서는 흔하지 않습니다. 전정기관에 문제가 생기는 말초성 현훈은 주로 이석증이나 전정기관염, 메니에르 병등에 의해서 발생하며 필요시 신경과에서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현재 증상은 안진검사 때문에 유발된 것이 아닌 이전부터 있던 증상의 잔존증상으로 보입니다.
검사 방법상에서는 문제가 없어보입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아무리 본인이 노력하려고해도 안진검사를 하면 제대로 검사가 나옵니다.
의식적으로 바꿀수 있는 검사가 아니란겁니다.
다른 원인을 찾아보시는게 좋아보입ㄴ디ㅏ.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네 눈에 힘을 준다고 하더라도 안진을 막을 수 없습니다. 검사 결과에 영향을 주지는 않았을테니 걱정 안하셔도 되겠습니다.
놀이기구를 타고 어지러움이 발생했으며 이비인후과적인 원인이 없다면 신경과 방문하셔서 어지러움에 대한 진료를 보시는게 맞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