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 거울 반응 실험에 유리에 은이 달라붙던데 어떤 반응으로 인해서 유리에 은이 달라붙게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하얀도화지입니다.
은 거울 반응 실험에
유리에 은이 달라붙던데
어떤 반응으로 인해서 유리에 은이 달라붙게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은 거울 반응에서 유리에 은이 달라 붙는 현상은 화학적 감소 반응에 의해 설명됩니다. 이 반응에서는 은 이온(Ag⁺)이 포함된 용액과 환원제를 사용합니다. 흔히 사용되는 환원제로는 포름알데히드나 글루코스가 있습니다. 이 환원제가 작용하여 은 이온이 전자를 받아 금속 은(Ag)으로 환원되는 과정을 거칩니다. 이렇게 환원된 은이 유리 표면에 밀착되어 얇은 필름을 형성하면서 달라붙게 됩니다. 이러한 화학 반응은 다음과 같은 반응식으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
Ag⁺ + e⁻ → Ag
이 과정에서 유리 표면에 은이 달라붙어 거울과 같은 반사 효과를 나타내게 됩니다.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은거울 반응은 산화환원반응을 통해서 유리나 투명한 통에 은이 달라붙어 마치 거울처럼 보이는 반응을 말합니다.
질산은 용액에 암모니아 수를 떨어뜨리기 시작하면 갈색의 앙금이 생기기 시작합니다. 양을 늘이면서 섞어주면 어느순간 질산은의 색깔이 갈색에서 투명해지게 됩니다. 이때부터 암모니아수 첨가를 멈추면 되는데 이때의 시약을 톨렌즈 시약 이라 합니다.
톨렌즈시약에 수산화칼륨 용액을 첨가해주면 다시 검게 변하게 됩니다. 이 검게변한 톨렌즈 시약을 유리병에 넣고 포도당을 넣게 되면 유리병에 은거울 반응이 일어나 유리벽에 은이 거울처럼 달라붙게 됩니다.
이는 톨렌즈시약과 수산화칼륨용액이 첨가된 물질에 포도당을 넣게 되면 톨렌즈 시약안의 은은 ag+ 상태로 양이온 상태로 존재하고 있는데 포도당이 들어가 전자를 내어 놓고 ag+ 가 전자를 받아(환원반응) 유리벽에 달라 붙게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