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런던의 그레이트 스모그로 인한 정부의 대처는?
런던의 그레이트 스모그로 많은 인구가 희생되었는데요
당시 런던의 정부는 어떤 정책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는지 알고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런던스모그는 1952년 12월 영국 런던에서 발생하였는데, 100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한 최악의 대기 오염 사건입니다. 짙은 농도와 유독성을 갖는 런던스모그는 그레이트 스모그(Great Smog)라는 이름으로도 불립니다. 석탄 연료 연소에 의해 배출된 황산염(Sulfate)을 발생 원인이라 할 수 있으며, 이렇게 발생한 스모그는 인체로 유입되어 많은 사람들을 사망에 이르게 하였습니다.
이 일후에 전 세계는 대기오염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게 되었으며, 영국 정부는 대기질 개선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였습니다. 대기오염 문제를 정확히 진단하기 위해 1953년 특별 조사 위원회인 비버 위원회(Beaver Committee)를 만들고, 1956년 비버 위원회가 제출한 보고서를 바탕으로 공기청정법(British Clean Air Act)을 제정하였습니다. 가정용 난방 연료를 무연탄, 전기, 가스로 대체며 연기나 재, 먼지 등의 발생을 억제하는 최초 법안이었다. 정부는 이와 함께 무연 지구(Smokeless zone)라고 불리는 오염 물질 규제 지역도 지정하여 지역 내에서 정부가 허가한 연료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규정하였습니다. 이러한 규제를 통해 석탄 사용을 줄이고 아황산가스 배출을 규제한 결과, 런던의 대기질이 크게 개선할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