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빌딩숲에서 바람의 세기가 더 강해진다고 합니다.
도심 빌딩숲에서 바람의 세기가 더 강해진다고 합니다.
이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개활지보다 도심에서 더 바람이 세어지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도심 지역에서 바람이 더 강하게 불어오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바람을 방해하는 물체가 적음: 개발지역에서는 건물이나 나무 등으로 바람이 가려지는 경우가 많지만, 도심 지역에서는 많은 빌딩이 밀집해 있어 바람이 막히는 것이 적습니다.
높은 건물이 바람을 가속시킴: 건물이 높을수록 바람이 빠르게 통과하면서 바람이 가속됩니다. 이는 마치 협곡을 지나는 바람처럼 바람이 가속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높은 빌딩이 밀집한 도시에서는 바람이 더 강하게 불어오는 것입니다.
지형적 요인: 지형적 요인에 따라 바람의 세기가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해안가와 같이 평지보다 바다로 향하는 지형에서는 바람이 더 세게 불어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도심 지역에서는 건물이 높고 밀집해져 있어 바람을 가속시키는 효과가 크기 때문에 바람이 더 강하게 불어오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도시 내부에는 높은 빌딩들이 많아서 마찰력 때문에 일반적으로 바람이 약합니다. 하지만 빌딩에 바람이 부딪쳐 갈라져 불 때, 건물과 건물 사이에서는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로 아주 강한 바람이 불게 됩니다. 이런 바람을 빌딩 풍 또는 빌딩 바람이라고 합니다.
벤츄리 효과는 굵기가 다른 관에 유체를 통과시키면 넓은 관보다 좁아진 관에서는 유체의 속도가 빨라질 수 밖에 없고 따라서 압력이 낮아지는 현상으로 이를 수리적으로 해석한 것이 베르누이의 정리입니다. 그러므로 빌딩 풍은 두 빌딩에 의해서 공기가 깔때기모양으로 수렴하여 풍속이 빨라지는 현상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도심 지역에서 바람이 더 강해지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 가장 큰 요인은 바로 '도시 효과'입니다.
도시 효과는 도시 내부에서 건물들이 인접해 있어서, 건물 사이로 유입되는 바람이 좁은 거리에서 빠르게 통과하게 되면서, 바람의 속도가 더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경쟁작용'이라고도 하는데, 건물 사이로 바람이 통과할 때, 건물 사이의 공간은 좁아지기 때문에, 바람이 빠르게 흐르게 되면서, 바람의 세기가 증가합니다. 또한, 건물들 사이에 있는 공기는 열이 모여서 상승하고, 건물 위로 빠져나오게 됩니다. 그러면서 건물들 주위에는 낮은 압력이 형성되고, 이러한 낮은 압력은 건물 주위의 바람을 끌어들이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이렇게 도시 내부에서 건물들이 서로 경쟁하면서 바람을 가속시키고, 흐름을 조정하는 것이 도시 효과의 주요 원리입니다.
또 다른 이유는 도시 내부에서 자동차와 기타 교통량이 많아서, 도시 내부에는 열섬 현상이 발생합니다. 열섬 현상이란 도시 내부의 콘크리트, 아스팔트 등의 인프라가 바람이나 태양의 복사 등으로 열을 축적하고 방출하지 못하면서, 도시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열섬 현상은 고층 건물들과 함께 작용하여 도시 내부의 바람의 세기를 높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도심 지역에서는 건물들과 도시의 특성으로 인해 바람의 속도가 더 높아지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도심 지역에서는 빌딩들이 밀집하게 서로 붙어있기 때문에 바람이 건물 사이를 통과할 때 막히고 방향이 바뀌는 일이 자주 발생합니다. 이렇게 건물들이 서로 막히면서 생기는 바람의 방향 변화를 '윈드 캐니온(Wind Canyon)'이라고 부르며, 이로 인해 바람이 더욱 강해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윈드 캐니온은 건물 사이의 협곡처럼 작용하여 바람의 흐름이 가속화되고, 빌딩들과 건물의 높이가 다양해지면서 바람이 낮은 지점에서 높은 지점으로 상승하면서 속도가 더욱 증가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도심 지역에서는 개발 지역보다 바람이 더 강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빌딩풍이라고 하는 신종 재난으로 규정된 영향때문인데...이 빌딩풍은 '벤투리효과'때문입니다.
벤투리 효과는 기압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공기가 이동하며 2배 이상의 풍속, 급강하, 소용돌이 등을 일으키는 현상입니다.
우리나라..부산이 대표적인데..해운대, 달맞이고개등의 위치가 이런 빌딩풍을 일으키기 좋은 상황에 있다고 하며,
이미 지난 태풍때 도심의 빌딩사이의 풍속을 측정해본 결과 일반 주택지와의 풍속 차이가 5~10m/s이상 차이가 났었다고 합니다.
참고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설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강한바람이 높은
건물에 부딪히면 바람의 흐름이 가로막혀 약해지지만 실제로는 넓은공간에 있던 바람이 좁은공간에 들어가면 압력은 낮아지고 속도가 빨라져요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도심 지역에서 바람이 세어지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일반적으로, 도시의 고층 건물들이 있어서 바람이 빌딩과 건물 사이를 통과할 때 마찰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빌딩과 건물들은 바람의 방향과 속도를 변화시키는데, 이는 바람이 빌딩과 건물들의 윤곽을 따라 흐르게 되면서 생기는 것입니다. 이런 현상을 '바람의 유속 증가'라고 합니다.
또한, 도시 내부의 건물들이 바람의 흐름을 방해함으로써 바람이 가속화되기도 합니다. 바람이 건물과 빌딩의 간격을 좁혀서 흐르다가 갑자기 빈 공간으로 들어가면 속도가 증가합니다. 이는 바람이 터널 효과를 느끼게 되면서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들이 모두 겹쳐서, 도심 지역에서 바람이 더 강해지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개활지에서 바람이 더 세게 불어나는 이유는 지형적 요인, 기후 조건 등이 있습니다. 개활지는 고지대에 위치하며, 주변 지형이 평탄하지 않아 바람이 더 빠르게 통과할 수 있는 경로를 찾아 가속될 수 있습니다. 또한, 기후 조건에 따라 개활지의 바람이 강해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산간 지역이고 기후가 건조하거나 바람이 강한 경우에는 바람이 더 세게 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결합하여 개활지에서는 바람이 더 강하게 불어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간단한 원리입니다.
주사기를 생각해보면 적은힘으로 끝에서 누르면 앞에서 주사액이 빠른속도로 나오게 됩니다.
같은원리입니다.
바람이 넓게 펼쳐서 불어오다 빌디사이를 지나게 될때 큰 개활지에서 불던 바림을 순간적으로 좁은 빌딩사이로
같은시간내 불어넣어야 하기때문에 빠른속도로 지나갈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