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아이언캐슬
아이언캐슬23.03.30

우리나라는 언제부터 성씨가 생겨났었나요?

우리나라에는 다양한 김,이,박,최등등 다양한 성씨가 있는데요,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이러한 성씨는 언제부터 생겨났었나요? 얼마전에 들은 얘기인데, 신라장군 이사부, 신라시대 이차돈의 성씨가 이씨가 아니라고 하더라구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 나라 성(姓)은 중국의 한자문화가 유입한 뒤인 삼국시대부터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세계에서 처음으로 성을 사용한 것은 한자를 발명한 중국이며, 처음에는 그들이 거주하는 지역, 산, 강 등을 성으로 삼았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의 성씨는 대부분 중국식을 모방한 한자 성으로 그 역사는 삼국시대 말기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합니다. 당시는 이전부터 사용하던 고유의 성을 한성화(漢姓化)한 왕실과 성을 왕으로부터 부여 받은 귀족에게만 국한되어 쓰였기에 일반 백성들은 성이 없었습니다. 그러다가 고려 때부터 본격적인 한국 성씨의 역사가 시작된다고 합니다. 본관이 처음으로 도입되고 중국식의 한 글자로 된 단성이 본격적으로 유행하여 '본관 + 단성'의 형태가 주류가 되고 특히 1055년 고려 문종 9년에도 아직 성씨가 없는 귀족층이 많았는데 성씨 사용을 추진하기 위해 성씨가 없는 사람은 과거에 합격하지 못하는 봉미제도(封彌制度)가 시행되었는데 봉미제도가 시작되고 나서부터 모든 귀족층들은 중국 성씨를 빌려다가 족보를 만들기 시작하였는데 족보가 오래될수록 권위가 높아지는 시대였고 그 권위가 과거 합격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 사서 등 옛 서적에 존재하는 중국 성씨와 자신들과 관련이 없는 중국 인물들을 가져다 족보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의 성씨는 대개 조상을 따라서 계승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성씨의 기원은 역사적으로 밝혀진 바는 없지만, 일부 성씨는 고대 신라, 백제, 고구려 등의 역사와 연관이 있으며, 일부는 중세 시대에 생겨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신라의 경우, 일부 성씨는 신라의 장군이나 향촌의 리더로부터 유래되었다는 추측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씨는 신라의 장군 이사부의 후예로 추정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추측은 역사적으로 입증되지 않았고, 성씨의 유래는 많은 경우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또한, 이차돈은 신라시대의 인물 중 하나이며, 이차돈의 성씨는 이씨가 아닌 여러 가지 성씨로 추정됩니다. 이는 그의 출신 지역이나 가문의 성씨를 따르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리나라 성씨의 기원과 변천사는 여전히 많은 논의와 연구가 필요한 문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