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통령이 취임후 100일이 지났는데요 경제적인 부분에서 어느부분이미흡했는가요
우리나라에서 12.3 비상 게엄으로 인해서 대통령 선거가 2년 앞당겨 치러졌는데요 그리고 새로운
정부가 들어섰습니다 현정부가 잘하는것도 많은것 같은데요 경제적으로 미흡했던 부분은
어떤 부분이 있는가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신정부 100일 경제 성과는 물가 안정과 재정 지출 관리에 미흡했다는 평가가 있습니다. 부동산 안정과 가시적인 성과가 부족하다는 지적입니다. 경기 둔화 국면 대응은 아직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이대통령 취임 이후 100일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제 겨우 100일 지난 상태에서
경제적인 부분을 논하기에는 너무 이르다고 생각합니다.
적어도 1년 이상 지난 후에 정책이 어떻게 먹혀들어갔는지
살펴봐야 할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이재명 정부 출범 후 미흡한 부분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불평등 완화 정책 및 어떤 성장을 달성할 것인지에 대한 개혁 과제는 미흡하다고 생각하는데요. 또한, AI 기반 성장 전략에서도 생산성 제고 측면만 강조됐고, 정책 결정 과정에서 노동자와 시민사회 참여를 보장해야 할 필요성도 제기됩니다. 또한, 대미 투자 확대로 인해 국내 일자리가 급격하게 감소할 우려도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새 정부가 들어선 지 100일 정도면 아직 평가하기는 빠르다고들 합니다. 그래도 경제 쪽에서 아쉬운 이야기는 꽤 나옵니다. 물가 안정 대책이 체감되기엔 속도가 느리다는 지적이 있고, 청년이나 서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일자리나 주거 문제도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고 합니다. 또 투자 진작이나 수출 지원 같은 부분은 발표는 많았는데 시장 반응이 뜨겁진 않은 걸로 보입니다. 물론 경기 자체가 세계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라 정부 혼자 해결하기는 쉽지 않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부동산정책이 어떤건지 모르겠어요
서울아파트가격이 다시 들썩거리고 있다고하며,저출산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책을 마련하거나 논의하는 모습을 보지못한것같습니다.그리고 최근 미국내 한국에서 파견한근로자문제에 대한 문제로 최근 방책을 마련한다지만 자존심만 상한 상태고 끌려가는듯한 모습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대통령이 취임 후에 다양한 활동을 통해 현상을 바로 잡으려고 하는 노력은 있는 것 같습니다. 다만 한미정상회담에서의 아쉬운 결과나 민생회복지원금, 상생페이 등의 많은 지원금으로 인해 사람들이 걱정을 많이 하는 것 같습니다. 이러한 재원의 마련은 어떻게 되냐, 등의 다만 이러한 것은 추경을 하면 된다고 하는 것은 결국 다음 세대에 부채를 넘기는 것이라 생각하는 것이 아쉬웠던 것 같습니다. 활동적이어서 보기 좋은 것 같습니다.
1명 평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