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가 부자되는 사회는 없을까요?
나라의 시민들이 모두 부자가 되는 사회는 없을까요? 왜 부익부빈익빈이 되는지 모두가 잘사는 나라는 자율적인 노력으로는 힘든가봐요.
안녕하세요. 거침없이 뚜벅뚜벅입니다.
모두가 부자가 되면 누가 열심히 돈을 벌려고 할까요?
생활수준이 나아져도 여전히 부의 재분배로 잘사는 사람과 못사는 사람으로 구분되어질거 같습니다.
모두가 잘 사는 나라는 사회주의를 보면 알수 있듯이 실제로 불가능한 이념인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부유한거미65입니다.
재화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모두가 부자는 될수 없지만, 모두가 가난해하진 않을수 있습니다.
그럴려면 부자들이 많은것을 포기해야 되는데.. 굳이 나서서 포기하진 않겠죠
열심히해서 노력한 부자와 잘 태어나서 부자가 된 경우가 있지만, 이러나 저러나 쉽게 포기하진 않을겁니다.
안녕하세요. 든든한동박새35입니다.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마시고 진짜 간단하게 생각해보면 모두가 부자가 될수있는 사회라면 한정적인 자원을 얻기위해서 노력할 가치가 없어지게 되지않을까요? 노력하지않아도 부자가 될수있는 사회에서 아무도 일을 하지않는다면 경제의 순환자체가 이루어질수없어 모두가 부자가되는 세상은 존재할수없습니다 그런세상을 전제로 나온 세상이 공산주의인데 사실상 북한마저도 부익부빈익빈현상이 일어나고있죠
안녕하세요. 부동산경매 보험 금융입니다.
토마스밀러의 유토피아를 예전에 읽어본적이 있습니다 질문자님의 말처럼 그러한 나라죠
만화 나루토에 보면 달의 계획 무한 츠쿠요미라고도 나오고요
지금 사회주의국가들 중 과거에 나오는게 공산주의혁명도 비슷한 내용입니다
공산주의를 하려고 했으나 독재국가가 되었고 북한을 아직도 공산당이라고 하는 사람이 있는데
그냥 독재국가입니다 옛날 왕권국가처럼 세습하고요
자유민주주의 자유주의는 어쩔수 없습니다 신자유주의라고 과거 이명박대통령이 강하게 밀었던 이념인데요
자유주의는 양육강식 적자생존 빈부격차를 인정합니다
현 대통령이 일본 미국에 가서 비굴하게 구는 것도 상대가 강한것이기 때문이고요
100을 내주고 1이라도 얻어오면 이득이라고 생각하는거죠
학폭피해자에게 왜 너는 강하지 못하냐 너가 약하니까 읃어맞는거다 라고 하는 정신입니다
전세사기피해자 이태원참사 피해자에게 니가 멍청해서 당하는 거다라고 하는 사람도 있죠
제 친구가 식당 서빙 주6일에 하루 12시간씩 일하는데 사장은 나오지도 않습니다 월220정도번다고 합니다
년월차같은거도 없고요 최저시급이 오르면 휴게시간을 늘립니다
이렇게 인건비를 뜯어먹어야 부자가 됩니다 사장네 가족은 4호점을 차릴거라더군요
결국 제친구는 15년동안 그곳에서 일하고 있고 4천만원을 모았다고 합니다
집도없고 차도없고 결혼도 못했습니다
그 친구네 사장은 이 친구보다 어리고 직장생활도 얼마안한사람이지만 이 가게는 할아버지거입니다
부는 대물림됩니다 부자는 계속 부자가 되가고 제 친구는 장가도 못갑니다
그래서 세계여러국가에서 빈부격차를 해결하기위해 기본소득을 실행하고 있는 겁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4125960#home
스페인 필란드 미국의 몇개주도 시행해보고 있고요
물론 부작용이 있을수있으니 시행 후 보완하는게 좋죠
한국은 몇몇 소수의 사람들의 수십만평의 땅을 갖고 있습니다
조선일보사만 봐도 부동산소유가 시가 2조5천억원정도라고 하고요
모교회 목사도 수십만평 씩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보유세가 0.07프로인가합니다
나라세금을 이런 극소수의 부자들에게 더 받아야 부의 재분배가 이루어지고
구매할수 있는 사람이 늘어날수가 있습니다
이러한 세금을 거두어서 전국민에게 한달에 만원이라도 더 주려고 하는 당이 있는거고
반대하는 당이 있는겁니다 우리나라도 부자편과 서민편이 있죠
저는 경제적으로는 보수우파를 지향합니다 더 노력해서 더 벌면 된다고 생각합니다만
초부자들은 부의 재분배가 있으면 좋겠네요
옛날 고려말기때만 봐도 농민들은 굶어죽어가고 영주들의 창고는 곡식이 썩고 있다는 말이 있는데요
딱 지금이 아닐까요
안녕하세요. 체셔캣8236입니다.
사회에서 모두가 부자가 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입니다. 부의 분배와 경제 성장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를 모든 사람들에게 균등하게 분배하는 것은 복잡하고 어려운 과제입니다.
부의 분배는 정부 정책, 경제 시스템, 사회 구조 등 많은 영향을 받습니다. 일부 국가에서는 사회 복지 시스템과 재분배 정책을 통해 부의 균형을 조정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도 모든 사람들이 부자가 되는 것을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또한 경제 성장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모든 사람들에게 공평하게 도달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경제 성장은 시장 조건, 기술 혁신, 교육 수준, 정치 안정성 등 다양한 요소에 영향을 받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모든 개인과 지역에 균일하게 적용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회에서 모두가 부자가 되는 것은 이상적이지만 실현하기 어려운 목표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사회적인 불평등을 완화하고 기회의 평등을 증진하기 위해 정책과 노력을 기울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회적으로 더 공정하고 포용적인 사회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