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사막위의오아시스
사막위의오아시스

한국에서의 중상층은 어느정도의 수준일까요?

살면서 가장 애매한게 중산층인데요.

그래도 중간은 하지 보통은 하겠지 하는 생각은 있지만 통계적으로나 공개적데이터로 중산층은 연소득이나 보유자산이 어느정도 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우리나라에서 중산층의 월급 구간이라고 하는 경우 대략적으로 3인가구 기준으로는 475만원이며, 총자산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는 5억 9,370만원으로 약 6억원정도를 보유해야 한다고 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KDI에서는 중산층을 가르는 기준을 자산을 기준으로, 또 소득을 기준으로 나누었습니다. 어떤 소득 기준으로 보든 중산층은 50%대입니다. 소비기준으로는 73%를 중산층으로 보고 있습니다. 순자산 10억이상부터 상위10.3%안에 든다고 합니다. 순자산 기준 5~10억보유시 중산층으로 볼수 있습니다.

  • ✅️ 일반적으로 개개인 마다 의견은 다 다르지만 3~4인 가구 기준으로 빚 없이 서울에 10억 정도의 자가를 보유하고 있고, 자녀가 당장 일을 하지 않으면 생계가 유지되지 않는 형태가 아닌 정도라면 중산층으로 볼 수 있다는 게 일반적인 견해입니다.

  • 흔히 말하는 중산층은 아래 기준이라고 합니다.

    • 부채없는 아파트 30평 이상

    • 월 급여 500만원 이상

    • 2,000cc급 중형차

    • 예금액 잔고 1억원 이상

    • 해외여행 1년에 1회 이상

    단, 정말 딱 중간이라고 한다면 훨씬 낮은 기준이 적용될 것 같습니다.

  • 한국에서 중산층은 연소득이 국가 중위소득의 50~ 150% 사이에 있는 사람들로 정의합니다.

    2021년 기준, 4인 가구의 월 중위소득은 약 530만 원으로 월 소득이 약 270만 원에서 790만 원 사이인 가구가 중산층으로 분류됩니다.

    이러한 중산층은 전체 인구의 약 60~7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OECD에서는 중산층의 기준을 중위소득의 75% ~ 200% 수준이라고 발표한 사실이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금융기관의 금융생활보고서를 보면 약 6억원의 순 자산을 가진 사람을 중산층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래 표가 현재 우리나라 중위소득입니다.

    그리고 KDI에서는 우리나라 중산층은 중위소득의 75%~200%까지라고 봤습니다. 예를 간단하게 들면면 저 표 위에 3인가구를 400만원이라고 쳐보겠습니다 그러면 300만원 부터 800만원까지가 우리나라 중산층이라고 보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한국의 중산층은 연간 가구 소득이 약 3,000만원에서 7,000만원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보유자산은 주택, 자동차, 저축 등을 고려하여 판단됩니다. 이는 단순히 수치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적 지위, 교육 수준, 생활 수준 등을 고려하여 중산층을 정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중산층은 경제적으로 중간 정도의 생활을 하는 집단으로, 국가나 시대에 따라 그 기준이 달라집니다. 대한민국 기획재정부는 전체 급여가 7,800만 원 이하인 가구를 중상층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OECD는 중위소득의 75~200%를 중산층으로 보고 있으며, 이를 초과할 경우 고소득으로 분류됩니다. 한편, 통계청은 중위소득의 50% 이상부터 150% 미만을 중산층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중산층의 정의는 여러 요소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됩니다.

  • 질문해주신 한국에서의 중상층은 어느 정도 일까에 대한 내용입니다.

    한국에서 순자산이 10억이시면 최소 상위 10% 이내에 들어가는 수치라고 합니다.

    상위 10%의 수치라면 그래도 그 사회에서 중상층에 속한다고 봐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