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문학 이미지
문학학문
문학 이미지
문학학문
amorfati
amorfati24.04.10

프로이트와 융의 심리학에 있어서의 차이점

프로이드와 융의 심리학에 있어서의 차이점과 융 심리학의 핵심과 본질에 대해서 보다 정확하게 알고 싶습니다. 융이 이후 심리학계에 미친 영향도 궁금하고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프로이트는 인간의 본성이 성적 충동과 공격적 충동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반면에 융은 인간의 본성이 자아실현을 향해 나아가는 성장 지향적 존재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리고 프로이트는 무의식이 인간의 행동과 사고를 지배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반면에 융은 무의식이 인간의 내면에 잠재되어 있는 창조성과 창의성을 이끌어내는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프로이트의 경우는 욕망의 리비도를 보다 체계와 시키는데 관심을 가졌다면, 융의 경우는 대표되는 욕망과 숨겨진 욕망의 대립 혹은 상호관계에 대해 초점을 모으게 되었다고 합니다. 또한 집단 무의식과 같은 선험적 욕망에도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휴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프로이트는 거의 인간이 대부분 성적욕구에서 비롯되며 저서 꿈의해석을 통해 그의 심리학적 이론을완성시켰으며 구스타브 칼 융은 처음엔 프로이트를 지지하다가 그의 정신 현상을 성욕에 귀착시켜 설명하는 프로이트에 반대하였고 아들러의 사상을 받아들여 성격에는 내향형과 외향형이 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융은 인도와 북아프리카 등지를 여행하면서 미개인의 생활을 관찰하였고 그것을 바탕으로 심층 심리에는 단순히 개인적인 것 뿐만 아니라 오랜 집단 생활에 의해 심리에 침전된 집단무의식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프로이트가 인간의 생각이나 행동의 근본적인 추동력이 되는 리비도가 성욕이라고 주장한 데 반해서, 융은 리비도가 성욕아라는 하나의 특성만 가진 질적 개념이 아니라 그 어떤 특성도 가질 수 있는 에너지 자체라고 하면서 양적개념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