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에도 사막화 현상이 있다고 하던데 왜 바다에도 그런게 생기나요?
바다에도 사막화 현상이 있다고 하던데 왜 바다에도 그런게 생기나요?
바다에서 생기는 사막화 현상이란 바다속이 황폐화 되는걸 이야기하는걸까요?
그런곳에서는 어떤 생물도 물고기도 없겠네요?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수온이 올라가면 산호말과 같은 조류가 죽으면서 바다 밑바닥이 하얗게 변한다고 하여
이를 백화현상 이라고도 합니다. 이는 석회 성분인 탄산칼슘 때문에 하얗게 보이기 때문입니다.
백화현상은 서식지를 파괴하고 생물의 다양성이 감소로 나타나게 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수온이 올라가면 산호말과 같은 조류가 퍼지면서 바다 밑바닥이 하얗게 변합니다.
산호말이란 산호처럼 석회질의 탄산칼슘을 가지고 있는 홍조류로서, 마치 산호처럼 생겼다 해서 이런 이름이 붙혀졌습니다. 하지만 산호는 동물이고 산호말은 식물이므로 전혀 다릅니다. 이 산호말이 번성했다가 죽으면 석회 성분인 탄산칼슘
때문에 하얗게 보이는데, 이를 백화 현상이라고 합니다.
산호말은 높은 수온에서 잘 자라는데, 바닥에 산호말이 번식하면 다시마나 미역은 달라붙을 장소를 확보하지 못해 잘자라지 못합니다. 그래서 수온이 올라가 산호말이 번성하면 바닷속이 황폐해집니다. 백화 현상이 일어나면 생물이 살 수
없으므로 일명 ‘바다의 사막화 현상’이라고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바다의 사막화 현상은 백화현상 또는 갯녹음 현상 이라고도 하고 있습니다.
연암 암반 지역에서 해조류 등 사라지고 흰색의 석회조류가 달라붙어 암반지역이 흰색으로 변하는 현상인데요.
지구온난화로 수온이 상승하고 바닷속 탄산칼슘이 바위와 바닥 그리고 해저 생물 등에 달라붙어요.
그로인해 바다는 알칼리성으로 바뀌고 해조류가 감소하며 바다 생물이나 물고기의 개체수도 함께 감소하게 되면서 바다의 생태계가 점차 황폐해지고 있어요.
즉, 바다의 사막화는 해조류, 말미잘, 산호 등이 고사하고 물고기도 살 수 없는곳이 되어 황폐화가 되고 있어요.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