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BR의 개념이 정확히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PBR의 개념이 정확히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PR의 주식가격 대비 주당 순자산을 나눈거로는 대략알고있는데 그러면 이 PBR이 무조건 마이너인경우의 기업은 주식하면 왠만하면 상승한다는 얘기일까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PBR(Price to Book Ratio)은 주가순자산비율로, 주식의 가격을 기업의 순자산가치로 나눈 값입니다. 이 비율은 주가가 회사의 장부상 순자산가치(Book Value)에 비해 얼마나 높은지 또는 낮은지를 나타냅니다
예: PBR = 0.8 → 주가는 순자산가치의 80% 수준
PBR이 1보다 낮다는 것은 주가가 순자산가치보다 낮게 평가되고 있다는 뜻으로, 투자자들은 이를 저평가된 주식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PBR은 현재 기업의 자산대비 시가총액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즉 간단하게 생각해서 PBR이 1미만이라는 것은 현재 기업을 시가총액을 주고 사서
보유하고 있는 자산만 팔아도 수익이 된다는 것입니다
즉 해당 기업에 대한 프리미엄이나 가치는 단 1원도 포함되지 않은 가격이라는 뜻입니다.
감사합니다.
PBR은 주가를 1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비율을 의미합니다. 즉 주가가 순자산에 비해 1주당 몇배로 거래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PBR이 1배 미만인 경우 주가가 저평가로 분석할 수 있지만 최근 기업의 주가는 미래 성장성과 수익성에 더 초점이 맞춰저 있어 저PBR주식이라고 해서 반드시 상승한다고 보장할 수는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PBR의 개념에 대한 내용입니다.
PBR이란 Price Book Value Ratio의 약자로 주가순자산 비율을 의미합니다.
주가순자산비율이란 기업의 주가를 주당 순자간 사치로
나눈 갓을 의미합니다.
즉, 기업의 장부상 가치와 비교해서 주가가 어떤 상태인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1 미만이면 장부가치보다 주가가 낮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