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깔끔한크낙새278
깔끔한크낙새278

2023년 교수신문 사자성어에 '견리망의'라고 했어요. 그럼 2022년 교수신문 사자성어는 뭐였을까요?

교수신문에 2023년의 사자성어로 “견리망의(見利忘義)”를 뽑았다 !!

교수신문은 올해 전국의 대학교수 13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견리망의(見利忘義)”가 응답자 30.1%(396표)의 지지를 얻어 가장 많이 꼽혔다고 밝혔습니다

2022년 서자성어는 뭐였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신중한오소리285
    신중한오소리285

    안녕하세요. 신중한오소리285입니다.


    🔸️역대 올해의 사자성어 최신순(2022~2011)


    • 2022년 사자성어 : 과이불개(過而不改)

    잘못을 하고도 고치지 않는다.


    • 2021년 사자성어 : 묘서동처(猫鼠同處)

    도둑 잡을 사람이 도둑과 한패가 됐다.


    • 2020년 사자성어 : 아시타비(我是他非)

    나는 옳고 남은 그르다.


    • 2019년 사자성어 : 공명지조(共命之鳥)

    한 몸에 두 개의 머리를 가진 새.(한쪽 머리가 죽으면 다른 머리도 죽는다는 운명공동체라는 뜻)


    • 2018년 사자성어 : 임중도원(任重道遠)

    맡겨진 책임은 무겁고 갈 길은 멀다.


    • 2017년 사자성어 : 파사현정(破邪顯正)

    사악한 것을 부수고 바른 것은 드러낸다.


    • 2016년 사자성어 : 군주민수(君舟民水)

    임금은 배고, 백성은 물이다.


    • 2015년 사자성어 : 혼용무도(昏庸無道)

    세상이 온통 어지럽고 무도하다.


    • 2014년 사자성어 : 지록위마(指鹿爲馬)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고 우기다.


    • 2013년 사자성어 : 도행역시(倒行逆施)

    순리를 거슬러 행동한다.


    • 2012년 사자성어 : 거세개탁(擧世皆濁)

    지위가 높고 낮음을 막론하고 모든 사람이 다 바르지 않다.


    • 2011년 사자성어 : 엄이도중(掩耳盜鐘)

    남의 비난을 듣기 싫어서 귀를 막지만 아무 소용이 없다.)현실을 직시하지 않고 자신의 잘못을 숨기려는 어리석은 행동을 비유)

  • 안녕하세요. 도로밍입니다.

    2022년 사자성어로는 과이불개(過而不改)가 935표 중 과반 수를 넘긴 476표(50.9%)를 얻어 1위를 차지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기막힌박쥐106입니다.

    2022년 교수신문 사자성어에는 과이불개 입니디

    잘못을 하고도 고치지 않는다는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