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털털한텐렉86
털털한텐렉8623.04.25

흥선대원군은 개혁가일까요 나라를 망하게한 사람일까요?

역사를 공부하다보면 흥선대원군의 평판이 나쁜 것 같습니다. 결국 나라를 망하게 한 원흉이 되어버린 것 같은데요, 그의 정치의 의도는 무엇이었을까요? 그는

왜 통상 개방을 거부했을까요? 그는 개혁가일까요? 나라를 망하게 한 장본인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흥선 대원군은 아들인 고종을 도와 조선의

    법률제도를 확립하고 중앙집권적 정치기강을 확립 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 한편

    경복궁 중건으로 백성들의 생활을 어렵게

    만들고 강력한 쇄국정책으로 국제관계를

    악화시키고 조선의 개화를 늦어지게 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 대원군 정권의 위정척사정책에 대해서 세계 대세에 눈이 어두운 고루하고 완고하며 시대 역행적인 정책이었다는 평가가 일반적이었습니다.

    그러나 ‘위정척사’가 조선 후기 유학자들이 밀려오는 서양 세력을 막고 우리 것을 지키려는 투쟁을 전개한 사회적 운동으로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위정척사운동은 그 성격이 수구적이고 배타적이기는 하였으나 근대적 민족주의의식의 성장을 위한 부국강병과 독립의 달성이라는 요소를 내포하고 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쇄국정책은 서양과 있던 두번의 전쟁인 병인양요와 신미양요로 인해 서양의 이미지가 부정적으로 변하게 되면서 쇄국정책을 평치게 됩니다.

    이러한 정책으로 나라간의 외교가 단절되었고, 근대화가 들어서는 것이 늦어졌다는 의견이 있고, 쇄국정책을 배경으로 본다면 자신의 소신을 굽히지 않았던 왕으로 평가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저는 나라를 망친 장본인이라고 생각합니다. 통상 개방 거부로 일본처럼 서양의 총 무기 기술등 받아들일 기회가 없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