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조선시대 무관 품계에 대해 문의합니다.
품계는 조선 시대에는 문무백관을 도서 양반으로 나누고 그 등급을 정1품에서
종9품까지 18등급으로 구분했습니다.
그렇다면 무관 품계의 종류는 어떻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西班官職(서반관직=무관)
正一品으로부터 從二品까지는 동반관직과 같다.
正三品: 절충장군(折衝將軍), 당상관(堂上官), 어모장군(禦侮將軍), 당하관(堂下官).
從三品: 건공장군(建功將軍), 보공장군(保功將軍).
正四品: 진위장군(振威將軍), 소위장군(昭威將軍).
從四品: 정략장군(定略將軍), 선략장군(宣略將軍).
正五品: 과의교위(果毅校尉), 충의교위(忠毅校尉).
從五品: 현신교위(顯信校尉), 창신교위(彰信校尉).
正六品: 돈용교위(敦勇校尉), 진용교위(進勇校尉).
從六品: 여절교위(勵節校尉), 병절교위(秉節校尉).
正七品: 적순부위(迪順副尉).
從七品: 분순부위(奮順副尉).
正八品: 승의부위(承義副尉).
從八品: 수의부위(修義副尉).
正九品: 효력부위(效力副尉).
從九品: 전력부위(展力副尉).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의 무반 관아와 관직으로는
중앙에 중추부(中樞府) ·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 · 오위(五衛) · 겸사복 · 내금위(內禁衛) · 훈련원(訓練院) ·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 등이 있었습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