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조선 과거제도에서 왕을 비꼬거나 비판하는 답을 적을경우 어떻게 됬나요?
조선 과거제도에서도 답안지에다가 선비들은 왕을 비판하거나 비꼬는 답안을 적은경우도 많을것 같은데요.
이런 일이 발생하게 되면 어떠한 사후 처리가 발생되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비판인지 비난인지에따라 달랐고 이를 받아들이는 왕의 성격에따라 대처가 달랐습니다.
안녕하세요. 장세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영조 31년인 1755년 2월, 나라를 비방하는 벽서가 나주에 걸렸습니다. 조사 결과 노론을 제거하려던 소론의 음모로 밝혀졌습니다. 그리하여 관련자들이 대거 처벌받습니다.
이들은 과거 영조를 위협했던 급격한 소론파 김일경의 잔당이었습니다. 그래서 영조는 이미 처형된 김일경을 다시 처벌하였습니다.
그 뒤인 5월에 역적을 토벌한 기념으로 특별 과거시험이 열립니다. 이때 심정연이란 사람이 흉악한 말을 답안으로 써냅니다. 영조가 크게 노하여 친국하였습니다. 그리고 역적 김일경의 잔당임이 밝혀져서 처형되었습니다.
이것은 하나의 사례이므로 일반화하긴 어렵습니다만, 최소한 국문을 받고 그 정도가 심한 경우 사형입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시대 과거 시험 문제는 가끔 왕이 직접 그 문제를 고르기도 했다고 합니다. 특히 이렇게 왕이 직접 고른 문제에 대해서 왕을 비하하거나 비판 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실제로 그런 일이 있어서 왕이 그 답안을 쓴 사람을 곤장을 맞게 한 다던지 하는 벌 준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