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백신 1차2차 기한이 길어져도 상관없나요?
아빠가 1차로 아스트라를 맞고
2차를 맞아야할 때 할아버지 부고상으로 접종시기를 놓쳤는데요.
그래서 약 3~4주뒤에 신청 후 맞아야하는데
1차와 2차 간격이 이렇게 벌어져도 괜찮은지 문의드려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성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6주 미만의 간격을 두고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2차 접종을 한 사람들의 예방 효과는 55.1% 정도에 그친 반면 12주 이상 간격을 두고 접종한 경우 예방 효과가 81.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2주이상너무접종간격이 길어지면 접종날조정이 가능한지 문의해 보시기 바랍니다.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현호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여러 번 접종을 시행하는 백신의 경우 1차 접종 만으로도 일정 비율 이상 항체가 생기지만 항체가 면역반응을 나타내기에 부족한 정도이거나 지속기간이 짧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2차 혹은 그 이후의 접종은 부스터의 개념으로 항체를 보다 충분히 하고 지속기간을 길게 유지하기 위해 접종합니다. 따라서 백신접종은 예방효과와 지속효과를 유지하기 위해 권장된 횟수와 간격을 지켜 접종하시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한 차례 접종 보다는 지연된 2차 접종을 완료하시는 것이 항체 생성 및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부득이하게 2차 접종 예정일에 접종하지 못하셨다면 가급적 이른 빠른 시기에 접종하시는 것이 권장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인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아무래도 임상 시험 시 의도 했던 혹은 연구한 것보다는 효과가 떨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럼에도 안맞는 것 보다는 훨씬 효과가 있을 것이구요. 답은 왠만하면 기간을 지키는 것이 좋겠지만 피치 못할 경우라면 최대한 빨리 맞는 것이 좋겠다 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아무래도 약을 만들 때 8주-10주 간격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 했고 그 이상 길어질 경우 효과에 대해서는 담보 할 수는 없습니다만 약간의 효과가 감소 할 수는 있겠지만 그렇다고 전혀 없는 수준은 아닐 것입니다. 화이자 백신의 경우도 3주로 되어 있지만 현재 수급 상황 때문에 4주로 늘려서 맞고 있기도 하지요. 최대한 빨리 맞아 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제조사에서 권장하는 기간내에 맞는게 좋겠습니다.
코로나는 현재 백신이 개발되었으나 각종 변이바이러스도 보고되고 있습니다. 코로나 종식은 언제가 될지 아무도 모릅니다. 개인 방역수칙을 잘지키시고 위생관리에 신경써 건강관리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괜찮습니다. 너무 걱정하지마십시오.
접종 전에 진료시 상담 받으시면 불안한 마음이 가실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나는 국소 이상반응은 접종부위 통증이나 부기, 발적 등이 있으며, 전신반응으로 발열, 피로감, 두통, 근육통, 메스꺼움ㆍ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접종 후 흔히 나타나는 반응으로 별다른 조치 없이 대부분 3일 이내 증상이 사라집니다. 이는 정상적인 면역형성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만, 39℃ 이상의 고열, 알레르기 반응(두드러기나 발진, 얼굴이나 손 부기) 등의 증상이 나타나거나,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이상반응의 증상이 일상생활을 방해하는 정도라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부작용에 대해 너무 미리 걱정하실필요 없습니다.
백신접종에 따른 이상반응을 최소화하고, 올바른 해열제 복용을 위해 다음과 같이 권고해 드리니, 안전한 접종을 위해 국민과 의료진 여러분의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1. 백신 접종 후 발열, 통증이 있으면 해열진통제를 드시기 바랍니다.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등) 성분의 약제가 다른 해열진통제보다 권장됩니다.
2. 아세트아미노펜 계열 약물을 못 드실 경우 이부프로펜(부루펜 등), 아스피린 등 기타 해열진통제를 드셔도 됩니다.
3. 백신 접종 전 미리 해열진통제를 드시는 것은 권고되지 않습니다.
4. 약을 드셔도 39도 이상 열이 나거나 발열, 두통, 전신통증이 2~3일 이상 지속될 때에는 의사에게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정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백신의 1차접종과 2차접종간의 접종기간은, 보통 화이자의 경우 4-6주, 아스트라의 경우 8-12주로 보고있습니다.
가능한 접종기간을 지키는것이 좋긴 하지만, 사정이 여의치 않을 때는 어쩔수없이 접종기간을 넘어서 접종해야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접종을 안하는것보단 낫기때문에, 접종할 수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보통 저희가 알고 있는 것들은 제조사에 밝힌 접종 기간입니다. 즉 임상실험 대상자들을 통계로 보았을 때 이때 접종하는 것이 항체 생성률이 큰 것이지 이때 접종 시기를 놓친다고 해서 항체가 생성되지 않는 것이 아닙니다. 즉 확률의 문제이므로 시기를 놓쳤다고 하더라도 다시 예약을 하고 접종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 백신 간격을 최대한 기간에 맞춰서 맞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불가피한 경우에는 늦게라도 맞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2차 접종을 통해 항체 형성을 더욱 촉진 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데, 아예 맞지 않는 것보다는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아스트라 제네카는 1차 접종 후 10-14주 뒤에 2차 접종을 맞는 것이 권장됩니다.
권장 접종 주기보다 간격이 길어지는 경우에는 백신 부스트 효과 등이 저하되거나 나타나지 않을 가능서잉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