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과학기지와 다산과학기지에서는 무슨 일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기후 변화에 관심을 가지면서, 환경 보호를 위한 정부 측 대응과 민간 기술 개발에 관심이 생겼는데요.
극지방에 위치한 과학 기지들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정보를 본 것 같아 좀 명확히 하고 싶어서 질문드립니다.
극지방에 위치한 한국 기지들에서는 주로 무슨 일을 하나요?
그 활동들은 어떤 목적을 가지고, 국가와 민간에 각각 어떤 도움을 주나요?
기후 변화에 있어서 이들의 특정한 역할이 있을까요?
다양한 관점 전부 괜찮으니까요! 상세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세종과학기지 다산과학기지 모두 국가에서 운영하는 극지연구소 입니다.두 과학기지 외에 남극에 장보고 과학기지가 있고 쇄빙연구선 아라온호도 포함됩니다.
이러한 극지연구소에서 가장 핵심적으로 연구하고 있는 것은 아시는데로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이상신호를 파악하고 미래를 예측하고 대응하기 위해서 입니다.
극지방에 위치한 한국 기지들에서는 주로 무슨 일을 하나요?
크게 대기 / 지질 / 빙하 / 해양 로 나눠 자원 탐구, 개발 등을 국가연구자금을 바탕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그 활동들은 어떤 목적을 가지고, 국가와 민간에 각각 어떤 도움을 주나요?
주요 목적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사전조사 및 대응을 하여 국제협력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민간에 어떠한 도움이 된다라고 말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수행한 연구사업자체가 민간에 이관되는 사업들이 아니라 특정분야의 연구이기이 때문에 직접적인 도움은 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기후 변화에 있어서 이들의 특정한 역할이 있을까요?
남극과 북극이라는 극지방에서는 기후변화의 징후가 가장 먼저 발견이 됩니다. 또한 빙하 속에는 수천년전의 과거가 담겨 있기에 이를 분석하여 가치있는 정보를 선점 할 수 있기 때문에 각국에서는 우리나라처럼 극지에 과학기지를 건설하여 연구중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