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대찬향고래25
대찬향고래2523.02.20

차안에서 책을 보면 멀미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차를 타고 장거리를 가야할때 책을읽거나 노트북으로 작업을 할때가 있는데 이런경우 갑자기 머리가 아프면서 멀미 증상이 올때가 있는데 왜 이런증상이 오는지 알고 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뇌에서 감각 신호를 해석하는 부위인 시상 때문에 멀미나 구토를 합니다.

    차를 타고 움직이면 신체와 뇌는 움직이는것을 감지합니다.

    하지만 이때 책을 보게 되면 이것 또한 감지합니다.

    뇌는 둘중 하나만 인지해야 하기 때문에, 구토를 유발하여 하나를 멈추게 한다고 하네요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시각적으로 들어오는 정보가 뇌가 인식하는 정보가 흔들림에 의해서 시간차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이런 이상 신호 현상이 지속되면 멀리나 두통등이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 즉 뇌가 이상 신호라고 몸에 경고를 해주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멀미는 우리 귀에있는 평형기관이 예측하지못한 큰 자극을 받을 때 신호과다로인해 발생합니다.

    즉, 흔들리는 차안에서 다른행위에 집중하면 예측하지못한 신호들은 더 심해지고 더 큰자극으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불꽃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 귀 속에 있는 내이는 몸의 균형을 담당하는 기관입니다. 움직이는 차 안에서 책을 읽으면 눈은 뇌에 정지해 있다는 신호를 보내지만, 내이는 움직이고 있다는 신호를 보내게 됩니다. 눈과 내이가 뇌에 말하는 신호가 일치하지 않고 상반되게 되면 메스꺼움, 어지럼증, 그리고 멀미와 관련된 다른 증상들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차 안에서 책을 보면 멀미를 하는 이유는 시각과 전정기관 사이의 불일치 때문입니다.

    책을 보는 동안 시각적 자극이 뇌로 전달되면서 전정기관과 시각 정보가 서로 상충되면서 혼란이 생기기 때문에 멀미를 느끼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차 안에서 책을 보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멀미가 발생되는 원인은 눈으로 보는건 멈쳐 있는데,,,몸은 흔들려서 입니다. 다시 말하면 귀에서 균형감각을 담당하는 부분인 전정기관 이라는게 있는데 차를 타고 가면서 책을 보면서 사면 몸은 흔들려 전정기관은 몸이 움직이는 것으로 판단을 하고 눈으로 보는 시신경계는 책을 보고 있으미깐 멈춰 있는것으로 판단하여 이 정보가 일치하지 않아서어지럼증 등 멀미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영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 귀 속에는 평형을 느끼는 전정기관과 회전을 느끼는 세반고리관이 존재합니다 그래서 보지 않고도 차의 가속이나 놀이기구의 회전을 느낄 수 있는데 차에서 책을 보게 되면 시각정보와 평형정보의 불일치가 일어납니다 몸은 가속하고 있는데 눈으로 들어오는 정보는 정지해 있으니까요 이런 불일치한 감각정보가 뇌로 전달되게 되면 사람은 멀미를 느끼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자동차의 진동에 대해 우리몸은 반사적으로 평형을 이루려고 하나, 눈은 한 곳에 고정되어 있어 우리의 뇌가 혼란을 일으키게 됩니다. 이로인해 속이 울렁거리고 머리도 아프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시각과 여타 다른 감각의 차이 때문입니다.

    즉 시각 정보는 책이나 노트북을 보며 크게 바뀌는 게 없지만 평형감각 차원에서는 차량의 움직임에 따라 자꾸 '움직이고 있다'는 정보가 들어오기 때문에 뇌에서 혼선이 발생하여 멀미가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