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포크를 진행할때 입출금을 중지하는건 왜 그런건가요?
일본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플라이어(bitFlyer)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오는 15일 오후 4시(한국시간) 부터 BCH의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전했다.
이번 비트코인 캐시 하드포크때 거래소가 입출금 제한을 둔다고 하는데 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하드포크에 따른 거래소 입출금 제한에 대하여 답변드리겠습니다.
이번 비트코인 캐시 하드포크는 슈노르 서명의 기능 추가를 통해 다중서명이 가능하게 되고 트랜잭션에 따른 보안사항이 업데이트하게 됩니다.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비트코인 캐시의 하드포크간 거래에 대한 핵심적인 사항(거래서명) 부분이 변경되기 때문에 일시적인 거래중지를 하는 것이라 생각됩니다.
아래화면은 비트플라이어(bitFlyer)의 공지내용입니다.
감사합니다.
하드포크를 실시하면서 해당코인의 보유량을 파악하기위해 토큰스왑등을 실시합니다. 그래서 일정기간동안 입출금을 제한하는 안전장치를 실시합니다.
하드포크시 보상을 주거나 실패시 안전한 물량복귀를 위해서 필요한 장치입니다.
하드포크는 이전의 개념에서 완전히 다른 의미의 버전을 의미합니다. 하드포크의 개념에서 보면
이전 개념의 블럭체인과 완전한 결별을 의미하며 이전의 체인과는 사용할수 없는 개념입니다.
이전개발자들과 의견충돌이나 시스템에 대한 의견점을 절충하지 못할시 완전히 개별독립한다는
의미에서의 코인들입니다. 비트코인캐시,이더리움 클래식등은 완전한 하드포크 개념입니다.
토큰스왑이나 에어드랍시 물량에 따른 토큰변환이나 무상토큰배분등 기갑에 보유한 수량을 확인하는 작업을 스냅샷을 통해 이루어지는 방법이 있습니다.
토큰 스왑이 이루어질때 대부분 사용하는 방법이구요 스냇샷을 실시하는 시점등은 기재하고 있습니다 . 일정등을 정확히 지켜주셔야 합니다.
이더기반의 코인뿐만아니라 다른 코인도 스왑하면 지원되는 거래소나 지갑인지 꼭 알아야하구요, 거래지원이 된다면 그냥 두시면 스왑기간중 자동으로 교환
되는 방식을 대부분 취합니다. 중요한건 지원되지 않는 거래소에 둔다면 스왑도 받을수 없을 뿐더러 스왑후에는 이전코인이 휴지가 될가능성이 크므로 항상 주의하셔야 합니다.
토큰스왑의 대표케이스가 이오스 입니다.
이오스는 원래 이더리움기반의 토큰이었습니다.
하지만 메인렛을 런칭하고 스왑을 진행했습니다.
스왑후 이전 이더기반의 이오스는 무용지물이됩니다.
이오스는 메인넷 런칭후 3000건 이상의 거래를 초당처리할수 있었습니다.
이런식으로 스왑이란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하여 새코인으로 교환해주거나 이전코인을 상폐시키고 새로운 코인으로 교환해주는 그런개념의 교환을 말합니다.
스왑은 좋은 의미로 새로운 솔루션을 도입한다는 개념의 양질의 스왑이 있는가 반면에 이전코인 상폐후 새로운코인발행 먹튀등 스캠코인들도 사용하는
나쁜코인도 있습니다. 그래서 스왑은 항상 신중한 검토를 하시고 해당토큰에 투자를 하셔야합니다. 그리고 중요한건 스왑기간중 교환을 실시 하지않으면
이전코인은 휴지가되니 조심해야합니다.
개인적인 의견이포함된 답변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