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실손과 일반실손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착한실손도 갱신형인가요?
실손이 많이올라서 착한실손으로 바꿔보고 싶은데 아는것이 없네요. 착한실손은 어떻게 보장이되고 실손과 차이는 무엇인지 알고싶습니다. 또 갱신형이면 몇년마다 갱신인가요?답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정광성 손해사정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일명 착한 실손이라는 것도 의료 실손과 동일한 보장이기 때문에 보험금 청구시 차이는 없습니다.
갱신주기는 보험상품마다 조금씩 달라지며 갱신시 보험료 인상이 있는것도 일반실손과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조정기 보험설계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중요한 내용이니 정독에 정독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1세대 2세대 실손은 착한 실손으로 갈아타시기를 적극 추천드립니다. 4세대 실손은 완전 안좋아진 실손입니다. 4세대 실손은 비급여보험금에 따라 할증률이 최대 300%까지 오르게 됩니다. 또한 본인 부담금도 30%로 바뀌고요 비급여 통원치료 공제금액도 3만원으로 인상됩니다(소액 통원 치료비는 거의 안준다는 말과 같습니다). 또한 재계약주기가 5년으로 바뀌어서 재계약시 보험사의 보장이 축소될 우려가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3세대 실손의 경우 비급여특약이 3가지만 특약으로 가입하고 나머지는 다 보장이 되었는데 4세대 실손은 비금여 전체를 특약으로 가입해야 합니다. 이리되면 보험료는 당연히 많이 올라가겠지요.
할증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비급여 보험금 100만원 이하 할증 없음. 150만원 이하 100%할증 300만이하 200%할증, 300만이상 300%할증. 비급여 치료 없을경우 5%할인. 할인은 겨우 5%이고 할증은 최대 300%입니다. 4세대 실손은 소비자의 입장에서 최악이 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현제 1, 2세대 실손을 가지고 계신 분은 3세대 실손으로 갈아타셔야 합니다.
3세대 실손으로 갈아타실 때 정말 주의할 점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절대 해지하고 다시 가입하시면 안됩니다. 이것은 정말 정말 중요합니다. 해지하고 가입하는 것이 아니라 "계약자전환"이라는 절차를 밟아서 3세대 착할 실손으로 전환 하시는 것입니다. 특히 연세가 있으신분들은 대부분 병원 이력이 많기 때문에 해약하면 재계약이 불가능 합니다.
그러나 "계약자전환"이라는 절차를 밟으시면 현재 어디가 아프든 상관없이 옛날 안아플때 가입한 조건 그대로 착한실손으로 갈아타실수 있습니다.
"계약자전환"은 담당설계사를 통해서만 가능합니다. 담당설계사에게 현재 실손을 "계약자전환"으로 착한실손으로 전환해달라고 요청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더 중요한 것은 전환을 할때 하루를 넘기면 안됩니다. 아침에 신청하시고 오후에 마무리 하셔야 합니다. 따라서 어머니를 모시고 보험사를 직접 방문하셔서 그곳에서 담당설계사와 함께 진행하셔야 합니다 .
더 자세한 내용을 안내받기 원하시면 프로필에 있는 제 전화로 연락하시면 자세한 절차를 안내해드리겠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인카금융서비스 분당서현로얄지점 조정기팀장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