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심심한도마뱀164
심심한도마뱀16422.11.03

금리 인상을 하는데 물가는 왜 안떨어지죠?

금리 인상을 우리나라도 몇차례 유지를 하였는데도 물가가 떨어질 기미가 보이지 않고 근원물가지수는 또 올랐다고 하던데요. 얼마나 금리를 올려야 물가가 잡히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현재 원유 및 식료품 등의 가격이 올라가

    물가가 잡히지 않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아무래도 현재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앞으로

    금리를 더 올려 물가를 잡아야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상승을 압박하기 위해 금리인상정책을 시행하고 있는데, 현재의 물가상승이 지표로는 '잘 잡히지 않는다'라고 할수도있지만 '더이상 상승하지 않고 작용하고 있다'라고 해석할수도 있을 것입니다.

    또한 인플레는 지금 잡히지 않는다고 영원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어느정도 시점이 되면 정책적 효과가 발휘될 것이라고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이돈석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먼저, 물가가 계속 상승하는 이유는 수입 물가가 상승해서 그렇습니다.
    우리나라는 대표적인 수출 국가 이긴 하나 또한 자원이 부족하여 수입도 많이 합니다.

    강 달러로 인해 수입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다 보니 금리를 인상하더라도
    물가가 쉽게 잡히지 않고 있습니다.
    물가는 원화 강세/달러 약세 기조로 돌아서야 안정화 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이는 현재 물가상승이 과도한 유동성 뿐만 아니라, 러우전쟁 / 중국 봉쇄 등에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금리를 정말 폭발적으로 올리지 않는 이상은 다른 요인들이 해결되지 않기에 물가는 잡히지 않을 듯 합니다.

    즉, 러우전쟁 및 중국봉쇄가 해제되는 것이 물가안정의 지름길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03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인상은 물가를 안정시키는 장점이 있지만 동시에 소비와 투자 등 총수요와 수출을 감소시켜 경제활동을 전반적으로 위축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한국은행은 경기가 지나치게 과열되고 부동산가격이 급등하여 경제불안이 우려되거나 물가 급등으로 인플레이션이 예상될 경우 등에는 기준금리를 인상하고자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