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물리

달과 해사이에 방황하는 토끼
달과 해사이에 방황하는 토끼

너트뷰나 해외 소개됐던 영상에 새나 움직이는 칼날이 마치 중지된 동작이 나온 것은 왜 그런가요?

해외 유명 동영상에 나오는 영상중에 움직이는 새나, 칼날, 등이 마치 일정하게 정지된 듯한 모습이 나오는 것은 왜그런 현상이 일어 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해외 유명 동영상에 나오는 영상 중에 움직이는 새나 칼날 등이 마치 일정하게 정지된 듯한 모습이 나오는 것은 일반적으로 스트로보스코픽 현상이라고 불리는 현상입니다. 이는 빛의 주기적인 깜빡임을 이용하여 움직이는 물체를 정지된 것처럼 보이게 하는 기술입니다.

      너트뷰나 해외에서 소개된 영상에서도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 것은 이 기술을 이용하여 촬영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즉 빛의 깜빡임과 물체의 움직임이 일치하여 정지된 것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이러한 기술은 과학적으로 설명하면 빛의 파장과 물체의 움직임 사이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빛의 주기적인 깜빡임을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물체의 움직임을 정지된 것처럼 보이게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외 유명 동영상에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이러한 기술을 이용하여 촬영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물체의 움직임을 더욱 선명하게 보여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우리가 보는 영상을 더욱 흥미롭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스트로보스코픽 현상은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지만 여전히 우리에게 신비로운 느낌을 주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만큼 이 기술은 우리에게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저는 이러한 기술을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보면서도 항상 놀라움을 느끼고 있습니다. 이러한 과학적인 현상들이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음을 알게 되는 것은 정말 흥미로운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움직이는 물체가 마치 일정하게 정지된 듯한 모습이 나오는 현상을 잔상이라고 합니다. 잔상은 눈과 뇌가 움직이는 물체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착시현상입니다. 사람의 눈은 움직이는 물체를 보았을 때, 그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망막에 상이 맺힙니다. 이때, 망막에 맺힌 상은 0.2초 정도 지속됩니다. 따라서, 움직이는 물체를 빠른 속도로 연속해서 보았을 때, 이전에 맺힌 상이 아직 사라지지 않은 상태에서 새로운 상이 맺히게 됩니다. 이로 인해, 눈과 뇌는 두 개의 상이 합쳐진 것처럼 인식하게 되고, 움직이는 물체가 마치 일정하게 정지된 듯한 모습을 보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