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사일러스
사일러스23.05.24

새의 배설물은 왜 흰색인가요?

새의 배설물, 그러니까 소위말하는 새똥은 왜 흰 색인가요? 예전에 닭의 배설물은 갈색이었던것으로 기석하는데, 조류마다 배설물의 색이 다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조류와 파충류가 소변을 요소가 아닌 불용성 고형물인 요산으로 배출하는 것은


    오줌을 눌 때 체내 수분이 낭비되지 않게 하려는 지혜의 소산이라고하죠


    즉 에너지와 중량의 비율을 최적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그들 나름의 자위책이라는 뜻입니다..


    유독한 질소 노폐물을 쉽게 용해되지 않는 배설물로 전환하는 것은


    육지에서 살 수 있도록 진화된 결과라고 합니다..


    새와 도마뱀은 물이 적은 생태 환경에서 노폐물을 체외로 배출할 때


    물을 최대한 사용하지 않도록 '고체 오줌'으로 바꾼 것입니다..


    자연이란 정말 신비한것이지요..


    조류 가운데 영양분이 적은 섬유질을 대량으로 먹고사는 일부 종의


    오줌은 쥐똥과 혼동할 정도입니다.


    이들 조류의 '고체 오줌'과 쥐똥을 구별하는 유일한 방법은 흰 반점이죠..


    새의 오줌에는 수많은 흰 반점이 섞여 있는 것이 특징이라고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과학분야 답변자 배병제입니다.


    새똥의 색은 먹는 음식으로 결정되는데, 주로 곡식이나 곤충, 작은 동물을 잡아먹습니다. 이들 안에는 칼슘성분이 많아 새똥은 흰 색으로 나오는 것입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새들은 소변을 배출하는 기관이 따로없어 요산을 함께 배출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새의 배설물에 포함된 칼슘과 다른 화학 물질은 흰색 또는 옅은 색상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화학 물질이 배설물에 풍부하게 존재하므로 새의 배설물은 보통 흰색으로 나타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새의 신체에는 소변과 대변을 구분하는 장기가 따로 없습니다.

    즉, 소변과 대변이 합쳐진 배설물이 배출됨에 따라 흰색 성분을 띄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새의 소화 시스템에서 생성되는 배설물에는 요구르트 결정체 또는 비눗방울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결정체는 칼슘과 요소인 마그네슘, 암모니아, 요소인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결정체들이 색상 없이 흰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조류에게는 소변과 대변을 배출하는 기관이 분리가 되어있지않습니다. 즉 방광이 없습니다.하여 일반적인 새똥이라 명명된 물질은 소변과 대변이 혼합된 것입니다. 새의 소변에는 요산(탄소, 산소, 질소 등으로 구성)이 포함되는데 이는 액체일 경우엔 무색에 가깝지만 고체화하면 하얀 결정의 형태가 되는 것이특징입니다. 요산은 사람의 신체에 오래 머물 경우에 통풍 등을 유발할 수 있지만 새의 경우에는 방광이 없기도 하고 빠르게 배출하기에 특별한 생체적 문제가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그리 유해한 효과를 내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새의 배설물이 하얀이유는 새의 경우 오줌을 배설하는 요도가 따로 없습니다 그래서 똥과 같이 오줌에 해당되는 질소계 배설물인 요산도 같이 배설하기 때문에 똥이 하얀색인 겁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새의똥은 흰색인데여

    조류는 '요산'으로 바꿔 똥과 함께 배출을 하는데, 요산은 하얀색 결정 형태를 띠고 있다. 탄소, 수소, 질소 등으로 이루어진 요산은 맛과 냄새가 없다. 액체일 때는 무색이지만 배설과 함께 고체화되어 흰색으로 변하게 되는 것이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새똥이 하얀 이유는 새는 가벼워야지 날수 있기 때문에 소변을 별도로 배출하는 요도가 없습니다. 그러다 보니깐 만들어진 소변을 바로 똥과 함께 해서 배출합니다. 그런데 이런 소변에 함유된 요산이라는 유기화합물이 있는데요. 이 요산이 액체일때는 무색인데 고체일때는 흰색이 되기 때문입니다. 새의 똥이 하얀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