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B(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는 어떠 것인지요?
원금보장에 수익률 10% 인 ELB(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에 7조원 정도의 뭉치돈이 몰렸다는데 ELB는 무엇이며 얼만전에 문제가 된 ELS와는 어떻게 다른지요?
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ELB)는 자금의 90% 정도를 채권과 같은 안전자산에 투자하고 나머지를 파생상품이나 개별 종목에 넣어 수익을 내는 상품입니다.
ELS는 금융기관과 금융기관, 금융기관과 일반기업 간의 맞춤 거래를 기본으로 하는 '장외파생상품'으로, 거래의 결제 이행을 보증해주는 거래소가 없기 때문에 일정한 자격을 갖춘 투자매매업자만이 ELS의 발행이 가능합니다.
ELB는 영어로 Equity-Linked Bond로, 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라고 합니다. 채권과 주식의 성격을 모두 가진 금융 상품으로, 채권처럼 이자를 지급하면서 주식처럼 주가 변동에 따라 수익이 발생하고 원금 보장형 상품으로, 만기 시 기초 자산의 가격이 일정 범위 내에 있으면 미리 정한 수익을 지급하는 상품입니다. ELS가 위험해서 최근 이상품이 인기를 끌고있습니다.
ELS는 영어로 Equity-Linked Securities라고 하며, 주가연계증권입니다. 주식이나 주가지수 등의 기초 자산의 가격 변동에 따라 수익이 결정되는 금융 상품이고 원금 비보장형 상품으로, 만기 시 기초 자산의 가격이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미리 정한 수익을 지급합니다. 몇년전부터 중국 항셍지수에 연계한 상품을 많이 팔았는데 거의 반토막이 나면서 우리나라 국민들에 막대한 손실을 주고있느 상품입니다.
안녕하세요
ELB도 ELS와 비슷하게 어떠한 지수를 추종하는 금융상품이라고 볼 수 있는데 특징은 원금 손실이
없고 미리 정해놓은 기준에 부합하면 만기시 원금과 수익금을 제공하는 상품입니다.
단점으로는 중도해지시에는 수수료를 떼기 때문에 원금손실이 발생할 수 있고 약정된 기간에 특정 지수를
터치하지 못한다면 수익도 거의 없이 원금만 돌려받는 점에 있습니다.
ELS는 손실에 대한 경우의수도 따로 만들어 손실 발생확률이 있는 상품이고 ELB는 그렇지 않지만
기대수익률도 적은 상품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ELB와 같은 경우 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는 원금보장형이기 때문에 위험이 적고, 약정 조건에 따라 추가적 수익을 올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ELS에 비해 고수익 구간이 제한적이어서 수익은 낮은 편이니 참고하세요.
ELB는 "연금연동형 수익증권"을 의미하며, 주로 연금자산을 운용하는 펀드나 상품을 가리킵니다. ELB는 연금자산의 수익률에 따라 수익이 변동하며, 일정한 이자를 보장하지 않습니다. 반면 ELS는 "주가연계증권"을 의미하며, 주식시장의 변동성에 따라 수익이 변동하며, 원금 손실의 위험이 있는 상품입니다.
좋아요 눌러주시면 복이 옵니다~!
ELB는 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로 원금이 보장되면서 약속된 이자를 받을 수 있는 투자 상품입니다. ELS는 주가연계증권으로 원금이 보장되지 않고 주식 시장의 변동에 따라 수익이 달라집니다. 그래서 ELB는 안전하지만 수익이 적고 ELS는 위험하지만 수익이 클 수 있습니다.
자본시장통합법 개정안 시행에 따라 2013년 9월부터 등장한 금융상품으로, 기존 원금보장형 주가연계증권(ELS·equity-linked securities)가 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ELB)로 재분류되어 은행에서도 팔 수 있도록 변경한 것입니다.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는 원금보장형이기 때문에 위험이 적고, 약정 조건에 따라 추가적 수익을 올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ELS에 비해 고수익 구간이 제한적이어서 수익은 낮은 편입니다. 또한 만기가 1년 이상인 경우가 많고 중도 해지할 경우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에 장기 투자에 적합합니다.
안녕하세요
ELB는 주가연계채권을 의미합니다. 이는 원금이 보장되면서 수익이 특정 주가지수의 움직임에 따라 결정 되는 채권입니다.
한편 ELS는 주가연계증권을 의미하는데 이것 역시 특정 주가지수의 움직임에 따라 수익이 결정되지만 채권이 아니라 증권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ELS는 Equity Linked Secuirty고 ELB는 끝이 Bond입니다. 즉, 한글로 하면 증권과 채권으로 다른데 증권의 경우 보통 아시는 주식 연계형이라 변동성이 높은 상품이고 따라서 수익률은 다소 높을 수 있으나 손해를 보는 경우 손실율이 큰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ELB는 채권형 상품으로 손실이 제한되고 수익도 상대적으로 적은 상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