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다부진랍스타198
다부진랍스타19821.10.16

코로나19 무증상 자연 치유 후 백신효과

코로나 확진되서 치료 한 후에 백신 접종을 하게 되어도 접종효과는 같은가요? 무증상 자연 치유 된경우 백신 효과에 대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에 감염이 되어 치유가 되었다면 항체가 이미 생성되어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항체의 활성과 양이 줄어들수 있기 때문에 접종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접종을 하고 싶다면 완치된후 90일 이후후에 접종을 하는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동주 한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그래도 헝체형성이ㅜ완벽하지ㅡ않아 코로나 백신 맞는 걸 추천 드립니다 코로나를 예방하는뿐 아니라 코로나가 걸렸어도 중증으로 가는 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특별한 이유가 아니시라면 코로나백신 맞으시는게 더 좋으실 겁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10.18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면역 반응은 항체 수치가 파도처럼 올라갔다가 내려가게 됩니다. 첫번째 파도는 조금 낮지만 2차접종을 할 경우 두번째 파도는 첫번째 파도보다 훨씬 높게 됩니다. 그리고 면역력을 획득하게 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확진 후 완치자의 경우 백신접종시 면역을 더 강하고 길게 유지할 수 있을것으로 사료됩니다.

    “감염 후 완치자, 화이자·모더나 맞으면 수퍼 면역자 된다”

    https://www.chosun.com/national/welfare-medical/2021/09/10/74PQELBWTBAJREQXRLUPK5JN6I/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 확진자도 완치 후에는 백신 접종을 받습니다. 일반과 동일하게 1~2차 접종을 같은 간격으로 받으시면 됩니다. 단 확진이 되었는데 아직 완치 전, 즉 현재 감염자라면 백신접종이 금기입니다.

    코로나에 확진된 사람이 백신접종까지 완료하면 항체 형성률이 훨씬 올라갑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송정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에 확진되었던 경우 체내 면역반응에의해 항체가 형성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백신은 체내에 항체를 생성하기위한 것으로 항체가 형성된 상태에서 백신접종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기에 의료진과 상의하에 접종여부를 결정하시길 권장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영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질병 관리청에 따르면 코로나 확진 후 완치된 사람도 백신 접종을 권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접종 금기 대상이 아닌 경우 코로나 감염력이 있더라도 코로나 예방접종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단, 항체치료나 혈장치료제 등으로 치료한 경우 곧바로 백신을 접종할 수 없고 예방접종으로 인한 면역반응과 항체치료의 간섭효과를 피하기 위해 최소 90일 이후에 예방접종 할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병열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19에 감염 여부와 관계없이 코로나19 백신접종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코로나19에 감염되었던 사람은 항체가 생성되지만 항체 유지기간이 지나면 돌파감염의 위험이 생깁니다. 최근 코로나19 감염이력이 있으면 백신 효과가 더 강하고 빠르게 나타난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단일클론항체나 혈장치료제로 치료를 받으셨다면 완치 90일 이후에 코로나19 백신접종이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민석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19 치료에 혈장치료제나 단일클론항체를 투여한 환자는 완치 후 90일간 접종을 피해야 합니다. 명확히 밝혀지진 않았지만 코로나19 감염과 치료로 나타난 면역반응이 백신이 유발하는 면역반응과 상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별다른 치료를 받지 않고 완치된 경우는 백신접종이 가능합니다.

    확진되었던 사람이던 건강한 사람이던 모두 백신접종을 받는것이 좋습니다. 완치된 사람은 항체가 생겼더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항체가 사라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무증상 자연 치유된 경우 백신 효과에는 차이가 없습니다.

    코로나 감염 이후 항체 치료를 하게 되는데 이러한 분들도 추후에 백신을 접종할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항체치료제를 사용하셨다면 보통 90일이 지난 이후에 접종할 것을 질병관리청에서 권고 하고 있습니다.

    코로나에 감염되고 완치되었다고 해서 백신의 효과가 없는 것이 아니며 우리가 일반적으로 감기에 걸려도 독감 주사를 맞는 것과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질병관리청에서는 백신으로 형성되는 중화항체 양이 많기 때문에 자연감염이 되었더라도 백신접종을 맞길 권고하고 있습니다. 마스크 착용과 함께 개인 방역수칙을 잘지키시고 위생관리에 신경써 건강관리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코로나 감염 후 완치된 사람도 백신 맞아야 합니다.

    - 완치자의 경우 몸에 항체가 생기긴 하나 시간 지나면 감소하기 때문에 완치 3개월 후에 백신 접종을 2회까지 모두 마쳐야 합니다. 완치자도 코로나에 다시 감염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닥터최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미국 CDC에서 코로나에 걸렸던 사람들에게도 백신 접종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근거는 감염 후에 자연획득한 항체가 개인마다 편차가 크고 수개월이 지나면 항체가가 떨어질 가능성이 많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과거 감염되었던 환자들에게 백신을 접종하게되면 신체가 면역반응을 활발히 일으켜 항체가가 더 높아진다는 연구가 있었습니다.

    다만 코로나에 감염되었을때 몸에 심한 다발성 염증반응이 나타난 중증 기왕력이 있었던 경우 득과 실을 따지고 의사와 상의후에 접종을 고려해야겠습니다. 접종시기는 급성 감염이 지나고 기침, 호흡곤란등의 코로나 증상이 없으면 접종을 권하고 있으며 감염 이후 항체가 한동안 유지될 수 있어 90일 이후에 접종하는 것도 권고되는 사항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창윤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 확진되고 나서 자연치유되게 된다면 항체는 마찬가지로 생깁니다.

    다만, 항체가 생기는 정도가 사람마다 다르기에 다시 코로나 바이러스 등에 걸릴 수 있어 완치 된 이후에 백신 접종을 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변종석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에 감염되었다가 완치가 되면 90일(3개월)이 지난 이후에 백신 접종을 받는게 좋습니다.왜냐하면 항체가 보통 3-6개월정도 있는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입니다.

    완치후 1차/2차접종까지 하면 됩니다.

    항상 건강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박승환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에 감염되고 완치되면, 보통 항체가 3-6개월정도 가는것으로 알려져있기때문에, 3개월정도 뒤에 백신접종을 해주시면 됩니다.

    접종은 1차 2차 다른분들처럼 똑같이 진행하시면 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었을까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후에는 항체가 형성됩니다. 그런 상황에서 이후에 백신을 추가로 접종 받게 되면 항체의 역가가 더 올라가면서 면역력이 더욱 확고하게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용한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미국 질병관리센터(CDC)에 따르면 단일 클론 항체 또는 회복기 혈장으로 COVID-19 치료를 받았다면, 90일이 지난 이후에 COVID-19 백신 접종을 받아야 합니다. 우리나라 질병관리청에서도 코로나19 감염으로 수동항체 치료(혈장치료나 단일클론항체)를 받은 경우, 코로나19 예방접종으로 인한 면역반응과 항체치료를 받은 경우의 간섭효과를 피하기 위해 최소 90일 이후 예방접종 시행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답변남깁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강여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기본적으로 코로나에 걸렸을 경우 치료가 끝나게 되면 이에 대한 항체가 생겨 어느 정도 면역이 생기게 됩니다.

    그러나 그 면역의 정도가 사람마다 다르고, 일부는 항체가 아예 없는 경우도 확인되었습니다.

    이에 백신 접종 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증상이 없을 때 백신 접종을 하여 주시면 되겠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정수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 확진자는 예방접종에 예외지만, 격리해제 이후에는 접종이 가능하고 코로나19 감염력이 있더라도 예방접종은 권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예방접종으로 인한 면역반응과 항체치료의 간섭 효과를 피하기 위해 최소 90일 이후 예방접종을 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확진 후 완치자의 면역력이 접종 완료자보다 강하다는 연구결과도 있으며 완치 후 접종시 재감염 위험을 절반까지 줄일 수 있다고도 합니다. 우선은 완치 후 면역력이 얼마나 지속되는지 모르기 때문에 접종을 권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승우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 감염 이후에 회복되신다면

    항체가 형성되기 때문에 면역력이 생깁니다.

    다만 최근 변이가 자주 일어나는 만큼 돌파감염은 나타나실 수 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