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완벽한말똥구리64
완벽한말똥구리64

차가운 물통에 물방울이 맺히는데요. 몇도정도의 온도가 되어나 물방울이 맺히나요? 주변 온도보다 낮기만 하면 되나요?

아이스아메리카노를 먹다보면 컵에 물방울이 맺히눈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차가운 컵에 물방울이 맺힌다는 것은 알고있지만 구체적으로 그 온도가 몇도인지는 모르겠는데 주위의 온도보다 낮으면 되는 건거요? 아니면 실온과 몇도 이상 차이가 나야 맺히는 등 정해진 것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되알진개미새214
      되알진개미새214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이스 아메리카노 컵에 물방울이

      맺히는 것은 이슬점이

      라는 개념과 관련됩니다.

      이슬점은 주변 공기가 포화 상태에

      도달하여 물방울로 응결되는 온도를

      의미합니다.

      차가운 아이스 아메리카노

      컵은 주변 공기보다

      낮은 온도를 유지합니다.

      컵 주변의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컵 표면에 닿으면 냉각됩니다.

      냉각된 공기는 이슬점에 도달하면

      포화 상태가 되어 물방울로

      응결됩니다.

      이렇게 응결된 물방울이

      컵 표면에 맺히게 됩니다.

      물방울이 맺히는 정확한 온도는

      주변 공기의 온도와 습도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주변 온도가 20°C 이상이고

      습도가 60% 이상일 때

      컵 표면 온도가 10°C 이하로

      떨어지면 물방울이 맺힐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주변 온도와 습도가 높을수록

      컵 표면 온도가 더 높아도 물

      방울이 맺힐 수 있습니다.

      컵의 재질 크기 두께 등도 물방울

      맺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금속 컵은 플라스틱 컵보다

      열전도율이 높아 컵 표면 온도가 더

      낮아지고 물방울이 더 쉽게 맺힐 수 있습니다.

      큰 컵은 작은 컵보다 표면적이 넓어

      더 많은 물방울이 맺힐 수 있습니다.

      두꺼운 컵은 얇은 컵보다 단열 효과가

      높아 컵 표면 온도가 더 높아지고 물방울이

      덜 맺힐 수 있습니다.

      아이스 아메리카노 컵에 물방울이 맺히는 것은

      주변 공기의 온도와 습도 컵의 온도 재질

      크기 두께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습니다.

      일반적으로 주변 온도가 20°C 이상이고

      습도가 60% 이상일 때 컵 표면 온도가 10°C 이하로

      떨어지면 물방울이 맺힐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보통 실내온도가 물통의 표면온도보다 높고 습도가 어느정도 있는경우 공기중의 습기가 물병에 달라붙어 액화되며 물방울이 만들어집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이스아메리카노를 먹다보면 컵에 물방울이 맺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주변의 공기 중의 수분이 차가운 컵의 표면에 응결되어 생기는 현상으로 이를 물방울이 맺힌다고 합니다.

      그런데 차가운 컵에 물방울이 맺힌다는 것은 알고있지만 구체적으로 그 온도가 몇도인지는 모르겠는데 이는 정해진 온도가 아니라 주변의 온도와 컵의 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주변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물방울이 맺히게 됩니다.

      차가운 물통에 물방울이 맺히는 것도 마찬가지로 주변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물방울이 맺히게 됩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물통의 온도가 주변 온도보다 더 낮아야 물방울이 맺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차가운 유리컵 표면에 물방울이 생기는 이유는 공기중 수증기가 차가운 유리컵에 닿으면서 응결되기 떄문인데 유리컵의 온도가 수증기의 이슬점보다 낮기 때문에 생김니다 이슬점은 공기가 더이상 수증기를 포함할 수 없게되어 수증기가 액체로 변화하기 시작하는 온도를 말하는데 공기의 온도와 상대 습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상대습도가 높고 공기의 온도가 낮을 수록 이슬점은 높아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차가운 물통에 물방울이 맺히는 온도는 주변 온도와 습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주변 온도보다 10~15℃ 정도 낮을 때 물방울이 맺히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습도가 높으면 주변 온도와 비슷하더라도 물방울이 맺힐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차가운물통에 물방울이 맺히는건 응결반응인데요.

      물통을 표면온도에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데 몇도라고 지칭하기에는 습도 온도 기압 등 고려요소가 많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