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자동차

팔팔한종다리117
팔팔한종다리117

디젤차의 dpf 청소 주기는?

디젤차량을 운행한지 10만키로가 넘었습니다. DPF 청소를 해야한다는 이야기를 종종 듣는데 서비스센타에서는 딱히 말하지않습니다. dpf 청소를 반드시 해야하는것인가요? 청소주기는 어떻게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밥아저씨와그로밋의신나는여행수첩
    밥아저씨와그로밋의신나는여행수첩

    안녕하세요. 넷아빠입니다.

    풀악셀을 많이 밟는 차는 흡기라인찌꺼기가 더 빨리 쌓입니다.

    일반적인 주행을 하는 차량은 덜 쌓이는데 보통은 2년에 한번정도 크리닝을 권하더라고요

    저도 작년 겨울에 크리닝을 받았는데 흡기크리닝만 받고 dpf크리닝은 받지 않았습니다. 어차피 dpf는 정상적인 주행을 하면 정상적으로 찌꺼기를 태우게 되어있습니다.

    매핑으로 dpf가 덜터지게 하거나 늦게 터지게 하게 되면dpf가 빨리 고장날 수 있습니다.

    dpf크리닝은 흡기크리닝할때 해주면 좋다고 하는데 저는 안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점잖은호랑이161입니다.

    dpf는 청소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사업소에서는 권장하지 않습니다.교체가 원칙인것이죠.청소 업체는 사업체 입니다.청소로 될수도 안될수도 있기 때문이죠.

    원칙은 교환입니다

    이론적으로 설명을 드리면 아무리 고온으로 태우더라도 재,숯 이라고 하는게좋겧죠?종이를 태워도 재가 남듯이 dpf안에도 재가 쌓이게 되는겁니다.그래서 교환이 원칙이지만 세척으로 어느정도 보완이 되기 때문에 가능은 하지만 세척 과정에서 고압의 물로 씻어내기 때문에 손상이 생길수 있습니다.그래서 원칙상 교환이 맞습니다

  • 안녕하세요. 순박한쥐164입니다.

    DFP에 카본 등의 찌꺼기가 쌓이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300℃ 이상의 배기 온도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그러나 일반 시내 주행을 짧게 하는 경우 (10km 내외)는 DFP 내 불순물이 제대로 배출이 일어나지 않게 되지만 반대로 고속도로 주행을 1시간 정도를 하게 되면 충분한 가열과 출력이 일어나기 때문에 쉽게 카본 찌꺼기의 배출이 생겨 자연 클리닝되는 효과를 얻을수 있습니다.

    적당한 고속주행이 이루어진다면 매연저감장치의 청소를 굳이 필요가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차량이 너무 노후되어 고속주행은 어렵고 시내주행만 하게 되는 그러한 특정 차량에 대해서만 청소하시면 될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