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퍼코퍼레이션 주가 질문입니다.
제가 올4월28일에 하이퍼주식 220원 706주를 매수했는데요. 한동안 접속안하다가 오늘들어가보니까 매수단가가 1,765원에 88주로 나오는데 하이퍼코퍼레이션에 무슨일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윤민선 경제전문가입니다.
하이퍼코퍼레이션(' 하이퍼 ' ) 주가와 보유 수량이 갑자기 바뀐 건 역(Reverse)스플릿과 같은 기업구조조정(corporate action) 이 있었기 때문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1) 매수 이후 변화 : 단가ㆍ수량 역전
ㆍ 4월 28일에 220원 × 706주를 매수 ->총 투자금 155,320원
ㆍ 최근 확인 결과 매수단가가 1,765원 , 보유 주식 88주로 표기됨.
ㆍ 이는 단가 약 8배 상승 , 주식 수량 약 8분의 1로 줄어든 형태.
ㆍ 숫자로 보면 :
220원 × 8 = 1,760 원 , 그리고 706주 ÷ 8 = 약 88주
-> 전형적인 1주당 8주 역스플릿 방식의 조정입니다.
(2) 역스플릿(reverse split) 설명
ㆍ 회사가 유동주 조절 , 주가 단순화 등을 위해 기존 여러 주를 묶어서 1주로 합치는 조치입니다.
ㆍ 예 : 5-> 1 , 8-> 1 , 10-> 1 스플릿
ㆍ 이 경우 :
주가는 합병 비율만큼 오르고
주식수는 해당 비율로 감소하며 ,
총 보유액은 변함 없음.
이 조치가 실제로 있었는지 확인하려면 회사 공시나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 에서 " 주식병합 " 또는 " reverse split " 공고를 찾아보시면 됩니다.
(3) 왜 이런 일을 하는 걸까?
ㆍ 주당 가격을 일정 선 이상으로 유지해 장터에서 거래되게 하거나 ,
ㆍ 상장 유지 기준 (거래단위 , 시가 총액) 을 맞추기 위해 ,
ㆍ 주가 조작 ㆍ낙폭 방지 , 기업 인식 개선 목적
역스플릿은 결국 표면상 숫자 변화일 뿐 , 투자 원금이나 수익률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 매수단가와 수량의 변화는 기업의 의도된 구조조정 덕분이며 , 실제가치는 그대로라는 점을 기억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하이퍼코퍼레이션은 주식 병합과 분할, 감자 등 다양한 사건이 있어서 주식 수는 줄어들고 주가는 1주당 단가는 올라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