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와 그 이후의 6g에 대해 궁금합니다.
현재 통신기술은 5g라고 하는데 속도가 4g와 비슷하기도 하고 5g가 적용되지 않는 지역도 있는데 어떤게 5g인지 그리고 그 이후 6g는 어떻게 될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현재 5G는 초고속 인터넷, 초저지연, 그리고 대규모 기기 연결을 목표로 하는 기술입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지역별 인프라 구축 상태와 주파수 대역에 따라 5G의 성능이 크게 달라질 수 있어 4G와 비슷한 속도로 느껴지기도 합니다. 이는 주로 중저주파수 대역에서 발생하며, 고주파수 대역인 밀리미터파(mmWave)는 초고속을 제공합니다. 6G는 2030년대에 상용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테라헤르츠(THz) 대역을 활용하여 데이터 전송 속도가 더욱 빠르고 인공지능과의 결합을 통해 보다 스마트한 통신 환경이 구현될 것입니다. 기술 발전은 항상 지역적인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자신의 지역 내 통신사 정보 등을 확인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5G는 이론적으로 4G보다 훨씬 빠른 속도를 제공하지만 실제로는 기지국 밀도 부족과 NSA 방식으로 인해 일부 지역에서만 빠른 속도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현재 대부분의 5G 네트워크는 중·저대역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어 속도 제한이 있으며, 고주파인 밀리미터파를 활용한 초고속 통신은 아직 일부 지역에서만 제공됩니다. 6G는 테라헤르츠(THz) 주파수를 활용해 더 빠른 속도와 초저지연을 제공하며, AI와 위성통신을 결합해 전 세계 어디서나 초고속 인터넷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6G는 기술적으로 더 많은 혁신을 요구하며 상용화까지 시간이 필요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6G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으며, 5G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혁신을 이끌어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5G가 아직도 일부 지역에서 완전히 구축되지 않은 상황에서 6G의 상용화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5G는 이론적으로 4G LTE보다 훨씬 빠른 속도를 제공하지만, 현재는 기지국 밀도가 부족하고, SA 방식이 아닌 NSA방식으로 운용되는 경우가 많아 4G와 큰 차이를 못 느낄 수 있습니다. 5G는 고주파(밀리미터파)를 활용해 초고속, 초저지연 통신을 목표로 하지만, 현재는 중·저대역 주파수가 주로 사용되어 실제 속도는 제한적입니다. 6G는 테라헤르츠(THz) 주파수를 활용해 더 빠른 속도와 초저지연 네트워크를 제공하며 AI와 위성통신을 결합해 전 세계 어디서나 초고속 인터넷이 가능하도록 발전할 전망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전문가입니다.
5g라고 하지만 실질적인 속도가 서울인근지역만 속도가 나올뿐 나머지 지역은 4g 속도로 나온다는 글을 이전부터본 것 같습니다. 이러한 문제 떄문에 사실상 6g도 비슷할 것이라 전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