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보험금을 연금처럼 받을 수있는게 나온다는데?
10월부터 55세ㅜ이상은 사망 보험금을 연금 처럼 매달 받을 수있는 보험이 나온??다고 하는데 무슨말인지 하나도 모르겠습니다.
자세하게 알려주실 분 없나요???
안녕하세요. 김해진 보험전문가입니다.
기사 첨부합니다.
읽어보시면 도움이 될거 같습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3428818?sid=101
종신보험 유동화제도입니다.
사망보험금을 생전에 연금 또는 서비스로 전환해 노후 소득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안녕하세요. 권태민 보험전문가입니다.
종신보험유동화 라하여
가입하신 종신보험의 사망보험금을 일부 연금처럼 미리 받아 활용하는 것입니다.
종신보험의 유동화제도는
✅금리 확정형 종신보험의 사망보험금 담보로 보험료 납입이 완료된 보험(계약기간 10년 이상 & 납입기간 5년 이상)
✅신청시점에 만 65세 이상인 계약자면 누구나 신청 가능
✅부분 유동화(최대 90%) 방식으로 정기형(예:20년)으로 운영
라는 조건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민욱 보험전문가입니다.
특별히 그런 상품에 대한 얘기는 들어본적은 없고
다만 말씀하신 내용으로는
종신보험을 연금으로 전환하여 이용할 수 있는
연금전환 기능을 말씀하시는 듯 합니다.
어디서 안내받으셨을까요?
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
: 이는 2025.10월 부터 아래 조건에 해당되는 경우
그동안 사망시 유족에게 일시금으로 지급되던 사망보험금이 가입자가 생전에 연금처럼 나누어 받을수 있게 됩니다.
대상은
만 55세이상
금리확정형 종신보험에 가입한 경우
사망보험금이 9억원 이하인 경우
10년 이상 보험료를 납입한 경우
해당 보험계약 대출이 없는 경우
계약자와 피보험자가 동일인인 경우
상기 조건에 해당되면, 사망보험금의 최대 90%까지를 연금으로 전환할 수 있고, 수령기간은 최소 2년이상 연단위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보험전문가입니다.
금의 연평균 수익률의 경우 역사적으로 약 7% 정도의 비율로 상승을 하였습니다. 매해 대외적인 상황에 따라 조금식 그 상승률이 다르며 약 4%의 상승률로 저조한때도 있었찌만, 이러한 상승의 경우 매해 일정하게 상승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상승에 비해 다른 코인이나 주식시장의 상승이 보다 두드러졌었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에 대한 것을 본다면 안정적인 상승을 볼 수 있으며, 코인이나 주식의 경우 하락장도 있지만, 금의 경우 큰 하락장이 있진 않았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석민 보험전문가입니다.
정부차원에서 추진중인 사망보험금 유동화 정책을 말씀하시는것 같네요.
원래 과거의 생명보험사의 사망보험금은 사망하기전에는 받지 못하는 돈이였는데, 이를 일종의 채권으로 보고 매입하여 연금을 지급하는 정책을 처음 도입한다는 내용입니다.
선진국에서는 이미 시행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삼성·한화·교보·신한·KB라이프 다섯개의 생명보험사가 처음 제도를 실행합니다.
정리해드리면, 연금전환기능이 별도로 없는 종신보험도 연금형태로 받을 수 있게되는 국가정책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
안녕하세요. 이선희 보험전문가입니다.
현재 판매되고 있는 일부 종신보험은 연금선지급서비스 특약이 있지만 종전 가입자들은 선지급서비스 기능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종신보험의 사망보험금을 담보로 연금으로 받을 수 있는 사망보험금 유동화 제도로 만 55세이상,사망보험금의 90%이내의 비율로 10월부터 출시될 예정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우 보험전문가입니다.
원래 사망보험금은 계약자가 사망을 하고 사망신고를 하면 일시금으로 가족들에게 지급이 되던 보험금 이었는데 이 금액을 보험사에서 너무 큰 금액이 한꺼번에 빠져나가니 이걸 일시금이 아닌 55세부터 사망보험금을 90%가 연금처럼 매달 받는걸로 바꾸겠다는 것 입니다.
하지만 여기에 조건이 있는데요.
금리 확정형 종신보험(계약기간 10년 이상, 납입기간 5년 이상) 중 보험료 납입 완료된 계약자
신청 시점에 만 65세 이상이어야 하며, 보험계약대출이 없어야 함.
이런 조건이 있습니다. 어찌보면 소비자들에게 또 하나의 연금이 생기는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보험사에서 한꺼번에 보험금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의 자구책일 뿐입니다.
물론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시각과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시각 둘 다 있습니다.
도움이 되셧길 바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