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프프로깅(Leapfrogging)'전략에 대해 알려주세요.
'리프프로깅(Leapfrogging)' 전략이 어떤 전략을 말하는지 궁금합니다.
AI관련 기사에 이 단어가 나왔는데 설명이 따로 없네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이는 개구리 점프라고 생각하시면 되며
하나의 발전단계를 건너뛰고 그 다음 기술이
바로 적용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술의 진보와 수용, 확산에서 기초부터 꾸준히 발전하는 것이 아니라 중간의 여러 단계를 건너뛰고 곧바로 고도화 국면에 진입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립 프로깅(Leapfrogging)'이라고 하는 것은 leap 이 jump 하다의 의미이고 frog 이 개구리 이므로 '개구리의 도약'을 연상시키는 단어인 립프로깅은 기술의 진보와 수용, 확산에서 기초부터 꾸준히 발전하는 것이 아니라 중간의 여러 단계를 건너뛰고 곧바로 고도화 국면에 진입하는 현상을 의미 합니다. 즉 이 전략은 순서를 밟아서 착ㄴ 차근 가는 것이 아니라 몇 단계를 건너 뛰고 다음 단계를 가는 전력이라고 이해 하면 좋을 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립프로깅이라는 단어는 개구리 점프라고 하는데, 산업이 단계별로 성장하지 않고 단계를 건너뛰면서 빠르게 한번에 성장하게 되는 걸 이야기하는 것이에요. AI에서 이 단어가 나오는 것은 AI가 산업의 발전 속도를 갑자기 급진전하게 만들면서 립프로깅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간 단계를 생략하고 다음 단계로 점프하는 것을 지칭한다. 금융 분야에서 추격자 위치에 있던 국가들이 현금 결제에서 신용카드 결제를 건너뛰고 바로 모바일 결제로 간 것이 대표적인데 최근 들어 인공지능(AI) 시장에서 첨단 기술을 곧바로 서비스에 접목한 사례에서 통용되고 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리프프로깅(Leapfrogging) 전략은 기존의 발전 단계를 건너뛰고, 더 높은 수준의 기술이나 방법론을 채택하여 빠르게 발전하려는 전략을 말합니다. 이 전략은 이미 어느 정도 기반을 갖추고 있는 경우에 긍정적일 수 있습니다.
한국은 미국, 중국, 이스라엘과 함께 독자적인 초거대 인공지능(AI) 모델을 보유한 4개국 중 하나로, 네이버와 카카오를 비롯해 LG, SK텔레콤, KT 등은 이미 자체 대규모언어모델(LLM)을 보유하고 있거나 개발 중입니다. 특히 네이버는 2021년 국내 최초로 초거대 AI인 "하이퍼클로바"를 발표했습니다. 이러한 사례들은 리프프로깅 전략의 기반이 탄탄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리프프로깅 전략은 후발주자가 선발주자를 따라잡기 위해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는 전략을 의미합니다. 리프프로깅 전략의 예로 1980년대 한국의 반도체 산업을 들 수 있습니다. 당시 한국은 선진국 기업들의 기술을 따라잡기 위해 기존 기술을 건너 뛰고 새로운 기술개발에 집중하여 세계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선두주자로 자리 잡을 수 있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리프프로깅은 직역하면 '개구리 점프'라는 뜻으로 중간단계를 생략하고 뛰어넘는 것을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