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모두가사랑이에요실금나와뚝방전설
모두가사랑이에요실금나와뚝방전설

우리나라증시의 멀티플은 미국과 달리 낮은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멀티플인 per이 미국보다 평가받지 못하는 이유는 우리나 시장이 가진 어떤점때문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증시가 제대로된 평가를 받지 못하는 것은 우리나라 기업들의 잘못된 기업 정책 때문이라고 할 수 있어요. 먼저 '주주환원 정책의 미흡' 그리고 '가족승계의 경영방식'이라는 큰 틀이 큰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기업의 주주환원율이 낮기 때문에 높은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미국에 비하여 자금유입이 적기 때문에

        같은 기업의 가치를 보유하고 있더라도 상대적으로 낮은 주가를 유지하게 되는 구조입니다.

      • 이번 밸류업프로그램으로 국내증시도 멀티플을 올리려하고 있는 상황에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아무래도 주주환원 등이

      부족한 등 이에 따라서 저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주주환원에 대한 적극성을 띠며 밸류업 프로그램 등의

      도입 등으로 인하여 극복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주식은 기업들이 지정학적위험 및 중국 경기침체 등 코리아디스카운트때문에 저평가 되어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의 경우에는 시장 자체가 작습니다. 내수 시장이 작기 때문에 기업이 성장하는데 어느정도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에 반해 미국의 경우에는 전세계가 주목하는 시장이기도 하고, 전세계에서 투자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성장성이 높아 우리나라 시장과는 다릅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지정학적 리스크도 있고 주주친화정책이 부족해서 그런거 같아요 특히 오너기업 같은 경우는 악질적인 회사 많긴 한듯 싶습니다 그래서 요즘 벨류업프로그램도 생길라 하는거구용

    •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장 큰 것은 아직 자본주의가 정착되지 않아서 입니다. 미국은 기업이 주가를 많이 신경쓰는데, 우리나라 기업CEO들은 상대적으로관심이 적습니다. 오히려 양도세 때문에 많이 안오르길 바라는 분들도 있다고 합니다. 이런거는 아직 기업이 세습되는 경향이 크고 주식시장과 자본주의가 상대적으로 초기라서 그렇습니다.

      미국도 과걱에는 이럴 수 있었겠지만 시간이 지나며 자연스레 초대회장의 가족도 경영을 할수 없게 되고 전문 경영자가 등장하고 주주들의 권리도 인정받고 이런 시간을 거쳤습니다. 우리나라도 지금 정부도 저bpr주 살리자고 하고 행동주의 펀드도 등장하는 등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이런 것들이 더 정착되어야 할 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전통적인 코리아디스카운트 때문입니다. 과거에는 북한 리스크가 코리아디스카운트의 요인 중에 하나였는데 근래에는 많이 완화 되었고 근래 코리아디스카운트의 주요 요인은 불투명한 지배구조, 수출 주도의 작은 내수 시장 규모, 주주 친화 정책 미비, 복잡한 규제, 자국 통화의 국제화 부족 등이 주요한 이유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철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은 전세계적으로도 자유경제 자본주의가 가장 발달된 나라입니다. 주식시장은 자본주의의 꽃이라고도 볼수있는데

      자유경제와 자본주의가 발달한 나라에서 경제활동이 원활하게 일어납니다.

      또한 per은 성장주에서 더 높게 평가되는것이 보통입니다. 미국의 주식시장을 주도하는 것은 it 빅테크 기업들이라 대부분 멀티플을 높게 평가받습니다.

      이에비해 우리나라는 소규모 경제국가라 시장의 안정성이 떨어지기도 하고, 아직 오너 중심의 운영으로 주주친화성이 떨어지는 측면이 있습니다. (상속을 위해 억지로 기업가치를 낮추기도 함) 또한 작년에 갑자기 공매도 금지를 시킬만큼 시장경제에 반하는 정책이 쉽게 일어나기도 해서 투자를 위축시킵니다. 경제에서 안좋은 제도보다도 못한것이 예측불가능성이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경제구조가 대외변수가 많으며, 미국에 비해 주주환원정책이 약한점, 미국의 경우 전세계 1위 경제국가로 풍부한 유동성을 보유하고 있는 점 등으로 우리나라 주식보다 높게 평가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