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단칼에 거절 하는 사람을 단호박이라고 하는데 이게 무슨 뜻인가요?

보통 고집이 있는 사람들을 보고 대쪽같은 사람 이라고 이야기를 하는데 단칼에 거절 하는 사람을 또 단호박 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단호박으로 불리게 된 이유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단호박 자르듯이라는 표현이 원래 있었습니다.

    단호박은 보기보다 매우 단단하고 칼이 한번 꽂히면 잘 안빠지므로 칼에 한번에 강한힘을줘야 쉽게 잘라지기 때문에입니다.

    단호박을 어떤 사람의 성향을 지칭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게 '단호박 자르듯이'의 줄임말로 사용하면 자연스럽습니다

    결정에있어서 단호한 사람을 가르킬때 주로 쓰여지며 말그대로 단호하다 해서 단호박이라고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성격이나 언행이 단호한 사람이나 그런 사람의 태도를 빗대어 이르는 말입니다.

    겉이 딱딱하여 손질하기 힘든 단호박의 생김새에서 비롯된 말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 대나무
    대나무

    단호박이란 식재료 농산물이 아닌

    성격이나 언행이 단호한 사람을 빗대어 칭하는

    언어유희, 신조어입니다.

    대화 중에 튀어 나온 언어 유희가 유행어로...

    ‘단호하네, 단호박인줄’

    ‘요구하지 마세요, 요구르트세요?’

    ‘내기 좀 하지마요, 새내기세요?’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단호하게 단번에 거절하는 신조서

    '단호박'은 아마도 생각보다 단단한

    껍질 때문이 아닐까요? 부탁을 해도

    좀처럼 통하지 않는 사람을 뜻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단호하게 거절한다라는 느낌인데, 이는 최근에 만들어진 유행어입니다. 이는 카카오톡 대화로 유행했는데, 카톡 대화 당사자가 단호하게 대답하는 상대방에게 ‘단호하네. 단호박인줄’이라고회신했던 데에서 ‘단호박’이라는 말이 유행하기 시작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도지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단호박을 칼로 가르면 물렁하거나 부스러지지않고 딱 2등분으로 깔끔하게 쪼개집니다.

    이와 같이 거절할때 단단한 단호박처럼 단호하다는 의미로 쓰임니다.

  • 안녕하세요. 권태형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행어의 경우에는 특별한 어원적인 기원이 없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아무래도 일반 방송이나 인터넷용어가 퍼진 것으로 짐작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단호박'이란 거부하는 것이나 반대하는 것이 매우 강하고 확고한 사람을 뜻하는 말입니다. 이 표현은 "단호한 호박"에서 유래되었는데, 호박은 겉으로는 딱딱하고 단단하지만 내부는 부드러우며 쉽게 꺼내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이러한 호박과 같이 겉보다는 속이 중요한 것처럼, 단호박도 겉모습은 냉정하고 단단하지만, 속은 뜻이 깊고 따뜻한 사람을 뜻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