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페퍼민트
페퍼민트22.09.09

코리올리 효과로 기류의 회전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나요?

상승기류나 하강기류는 방향이 약간씩 휘어지면서 진행되는데, 이 현상이 지구의 자전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코리올리 효과로 어떻게 설명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가 자전하게되면 각 위도에서 받는 원심력은 서로 다르게 만들어집니다.
    즉, 적도부근에서 원심력이 가장 강하기 때문에 액체가 빠르게 이동합니다.
    각 위도마다 액체나 기체층이 다른속도로 움직이다보니 자연스럽게 소용돌이 형태가 만들어집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 지구를 위에서 바라볼 때 지구는 반시계 방향으로 자전합니다. 그리고 이상황에서 우리가 적도에서 물체를 북극 방향으로 쏘았다고 상상해보죠. 지구는 반시계방향으로 자전하고 있기 때문에 지구에서 본 관찰자 입장에서는 분명 물체를 북극방향으로 쐈는데 오른쪽으로 휘어서 날아갈 것입니다. 왜냐하면 적도에서 자전속도로 인해 오른쪽으로 운동하려는 관성이 작용하기 때문이죠. 이 관성은 적도에서 자전 속력이 가장 빨라 지구의 북반구보다 강합니다. 이를 코리올리 효과라고 하며, 마치 지구 관찰자의 입장에서 힘을 받는거 처럼 느껴지기 때문에 관성력으로 분류됩니다. 그리고 북반구에서 태풍이나 배수구에서 회전 방향이 반시계 방향인지도 바로 이해가 가실겁니다. 태풍이나 배수구의 경우는 위쪽 유체는 아래쪽으로 이동하며 왼쪽으로 휘며, 아래쪽 유체는 위쪽으로 이동하며 오른쪽으로 휘기 때문이죠. 지구의 자전에 의해, 코리올리 효과에 의한 것이죠.

    이해가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북반구에서 저기압이 반시계방향으로 불어가는 이유는 전향력(코리올리 효과) 때문입니다.

    지구가 자전을 하게 되면(회전) 그 위에서 운동하는 물체는 운동 속도 방향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이 생기게 됩니다.

    이 힘에 의해 위의 결과가 나타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