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라시아 대륙의 서쪽과 동쪽의 기후차이어 근본적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유라시아 대륙의 동쪽 끝이라고 할만한 우리나라와 서쪽 끝 동일. 위도의 이베리아반도와의 기후차이의 근본적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같은 위도인데도 겨울에 왜 동아시아는 혹한이고 스페인 쪽은 그리 춥지 않은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위도가 중요한 온도결정요인인 것은 맞지만, 해안가인지, 대륙인지, 주변의 지형등의 영향도 받고, 지구 전체의 대기순환등과 연관되어 복합적인 영향을 받아서 온도가 정해질 것 같습니다.
정확한 원인은 알기 어렵지만 여러가지 요소가 영향을 주기 때문에 위도만으로 판단하기 어렵다.. 이정도로 생각이 되네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유라시아 대륙의 서쪽, 즉 이베리아반도는 대서양의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대서양은 해양성 기후를 형성하며, 바다의 온도 변화가 육지보다 느리기 때문에 겨울에는 바다가 주변 지역을 따뜻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에 따라 이베리아반도는 온난한 겨울을 경험합니다. 반면, 동아시아, 특히 한국과 같은 동쪽 지역은 대륙성 기후의 영향을 더 많이 받습니다. 동아시아는 태평양에 접해 있지만, 겨울철에는 시베리아 대륙에서 내려오는 차가운 대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혹한을 경험하게 됩니다. 이는 바다의 영향이 대륙의 차가운 공기를 막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겨울철에 동아시아는 시베리아 고기압의 영향을 받으며, 이는 시베리아 대륙에서 형성된 차갑고 건조한 공기가 남하하면서 동아시아 지역으로 몰려옵니다. 이러한 고기압은 한랭한 공기를 동아시아로 보내며, 그 결과 한국, 중국 북부, 일본 등지에서 추운 겨울이 발생합니다. 반면, 유라시아 대륙 서쪽의 이베리아반도는 북대서양 난류(대서양의 따뜻한 해류)의 영향을 받습니다. 이 해류는 서유럽 전체를 겨울에도 비교적 따뜻하게 유지시켜 줍니다. 특히 제트 기류는 따뜻한 공기를 대서양에서 서쪽으로 보내며, 이베리아반도의 겨울을 온화하게 만듭니다. 동아시아의 지형적 특성도 기후 차이에 영향을 미칩니다. 동아시아는 거대한 시베리아 고원과 고비 사막으로부터 냉기가 내려오는 경로에 놓여 있어, 겨울철 한랭한 바람이 막힘없이 남하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한반도, 중국 북부 등 동아시아 지역은 차가운 겨울을 맞게 됩니다. 반면에, 이베리아반도는 대서양과의 근접성 덕분에 해양의 온난한 영향을 받으며, 또한 알프스 산맥과 같은 지형이 북쪽에서 내려오는 한랭한 공기를 막아줍니다. 이러한 지형적 차이는 두 지역 간의 기온 차이를 만들어냅니다. 대서양은 겨울철에도 비교적 온도가 유지되며, 이 지역에 따뜻한 바람을 불어넣습니다. 이에 따라 유럽의 서부 지역은 대서양의 완충 효과로 겨울 기온이 온화해집니다. 반면, 시베리아 대륙은 겨울철 급격하게 냉각되어, 그 영향이 동아시아 지역으로 확산됩니다. 대륙 내부에서의 열 흡수와 방출 과정이 빠르게 이루어져, 극심한 겨울 추위가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