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전시회 참가 후 수출 성과를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해외 전시회는 수출 기회를 창출 할 수 있는 마케팅 수단으로 생각드는데 전시회 참가 이후 바이어 반응, 상담 전화율, 샘플 출고 여부 등 실질적 수출 성과를 분석하기 위한 지표와 방법에는 뭐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전시회 참가 이후에는 단순한 명함 수집보다는 바이어 반응을 등급별로 분류하고, 실제 상담 건 중 계약 전환율이나 샘플 요청 건수, 이후 재문의 비율 등을 확인하시는 것이 실효성 있는 지표로 보여집니다. 상담일지나 응대 내용은 꼭 기록으로 남기시고, 바이어 국가별 특성이나 구매 가능 시기 등을 정리하면 다음 수출 전략 수립에도 도움이 됩니다. 전시회 후 3개월 이내 반응이 가장 중요하니 그 시점까지의 성과 추적이 핵심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러한 지표는 크게 2가지가 있을 듯 합니다.
첫번째는 고객리스트 확보입니다. 이러한 고객 리스트의 수는 많을 수록 좋기에 이러한 박람회를 통하여 연락할 수 있는 바이어의 수를 늘리는 것은 하나의 지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는 실제 계약건의 확보입니다. 결국에는 매출을 일으키기 위하여 이러한 행위를 하는 것이기에 실제 매출이 증대되었는지를 확인하여야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2가지 정도의 지표를 활용가능하다고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해외전시회는 훌륭한 마케팅 수단이 될 수 있지만 모든 업체가 성과를 내기는 힘든 구조를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일단 전시회에서의 사전 마케팅이 중요할 수 있으며, 바이어와의 상담건수 리스트를 체곅적으로 기록하고 관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실제 샘플 발송과 계약체결에 대한 비율을 추적해 해외 전시회의 효괄르 검토하고 후속관리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전시회 끝나고 나면 피로감에 정리 미루는 경우 많은데 그 시점 놓치면 데이터가 흐려집니다. 바이어가 실제 계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는지 파악하려면 단순한 명함 수보다 상담 내용의 구체성과 후속 연락 여부가 더 중요합니다. 상담 수 자체보다는 실제 샘플 요청 건수, 견적 회신률, 일정 내 재접촉 여부 같은 지표가 성과 판단에 직접적입니다. 메일 회신 시간이나 상담 이후 미팅 제안 횟수도 의외로 유용한 자료가 됩니다. 수출 계약 체결 건은 물론이고 진행 중인 협의 단계별 이탈률도 체크해두면 다음 전략 수립에 도움 됩니다. 특히 상담 일지나 CRM 툴에 메모 남겨두는 습관이 있어야 이후 분석이 수월합니다. 단순 수치보다는 반응의 흐름과 온도를 함께 봐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