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강원도의빠워
강원도의빠워

대기업 절만 이에스지 위원회 운영중이라는데 왜 그런건가요?

한국 대기업의 약절반만이 이에스지 위원회 운영한다고 하던데요 자산기준으로는 2조원 이상 기업은 이에스지 공시대상인데 아직 준비만 한다고 하더라구요 왜 다른 기업들은 이에스지 관련 투자를 안하는건가요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사실 ESG는 기업의 매출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 단지 ESG는 국가와 국민을 위한 의사결정이라는 부분입니다

    • 즉 전체적인 효용을 위해 기업의 이익을 조금 포기하더라도 선을 향해 나아가는

      것입니다

    • 즉 ESG 운영은 매출이 더 잘나오는 상황에서는 기분좋게 하겠지만 기업이 죽게 생겼는데

      ESG를 운영하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이에스지 위원회를 두는 건 단순히 조직 하나 만드는 게 아니라 인력과 예산을 꾸준히 써야 하는 일입니다. 규제나 공시 의무가 없는 기업은 당장 비용을 쓰기보다 상황을 지켜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단기 실적 압박이 큰 회사일수록 장기적 가치보다 당장 눈앞의 이익을 우선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 이에스지 평가지표나 규범이 아직 완전히 통일되지 않아 어떤 기준으로 움직여야 할지 애매하다는 점도 있습니다. 그래서 일부 대기업만 먼저 운영에 들어가고 나머지는 법제화나 시장 압력이 더 커질 때까지 준비 단계에 머무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한국의 대기업 중에선 절반만 ESG 위원회를 운영 중인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는 아마도 ESG가 법적 강제성을 띄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모든 기업들이 따르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이에스지 투자는 기업의 막대한 투자비용이 필요하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겐 큰 부담이라 실천하기 쉽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ESG 위원회라고 하는 것은 환경과 지배구조나 사회구조에 대한 투자로 이러한 것은 대기업이 사회를 위해서 공헌해야한다는 측면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공헌을 하는 기업이 올바른 기업이라고 볼 수 있지요. 이러한 것은 2025년 부터 실제적으로 다뤄지고 있으며, 이러한 대기업의 기준은 자산 기준 2조원 이상인 기업에 해당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것이 기업의 윤리적 측면에서 다뤄지고 잇지만, 실제적인 법적인 처벌이나 의무를 담당하고 있지 않아서 그런 부분도 있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