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외과 이미지
신경외과건강상담
신경외과 이미지
신경외과건강상담
럭셔리한레아146
럭셔리한레아14621.08.22

수면중 땀.. 열..어느과 진료받아야할까요..?

종종 잠에서 깹니다..

흔히 말하는 가위눌림? 악몽을 꾸고요

잠에서 깨면 땀이 많이나있고 등쪽이 뜨겁습니다.

평소에도 빨리 잠에 들지않으면 등이 많이 뜨거워서

잠에 들지 못해요

어느 과 진료를 받아야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시는 증상은 비특이적인 증상이기 때문에 특별히 의심되는 질환은 없습니다. 병적 상황으로 보이지 않지만 굳이 병원에 방문하시어 검진을 받아보자면 정신건강의학과 진료를 받아보시고 문제가 있는지 확인해보시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수면장애는 불면증, 수면관련 호흡장애, 과다수면증 등 여러 수면과 관련된 질병을 통칭합니다.

    보통 수면에 문제가 있다면 다음 세가지 중 하나 이상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1. 불면증

    2. 수면 중 이상한 움직임, 행동 또는 느낌

    3. 주간과다졸림증

    이러한 증상을 개선하는데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낮잠을 피한다

    -잠자리에 누워 있는 시간을 일정하게 한다

    -잠자리에 들기 약 2시간 전에 더운물로 목욕을 한다

    -주말이나 휴일에도 일어나는 시간을 일정하게 한다.

    -수면을 방해하는 물질, 즉 담배, 커피, 홍차, 콜라, 술 등을 피한다

    -밤에 일어나더라도 시계를 보지 않는다

    보통 이중에서 불면증이 가장 흔하게 나타납니다. 보통 사람들은 일시적으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지만 2주 이내에 회복되지만 그 이상 나타난다면 반드시 병원 방문 후 검사를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보통 정신건강의학과나 수면 클리닉 방문하시면 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수면중 열이 나는것을 질병으로 보기는 힘듭니다..

    수면환경을 좀 더 시원하고 쾌적하게 바꾸시는 방법밖에 없겠씁니다..

    병원을 가시더라도 크게 해줄게 없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일정 신체 부위에 과도하게 땀 분비가 일어나는 것을 다한증이라고 합니다.

    정확한 원인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지만 호르몬 신경안정등 여러가지 설이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다한증이 있는 분들이 잠을 적게 자거나 밤을 새면 땀이 더 난다는 경험이 있는것으로 보아 수면과 다한증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보여요.

    다한증이 걱정이 되신다면 수면시간을 충분히 가져보시기를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내과 가셔서 진료를 보시기 바랍니다

    최근 체중이 빠지거나 하지는 않았는지요?

    일단 검사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강창규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수면제나 수면유도제등을 이용할 수는 있지만,

    가벼운 수면장애에서부터 이용하게 되면

    정신적으로 약물에 의지를 하게 되기 시작하는 부작용이 생길 수 있으므로

    일단 생활교정을 통해 수면장애를 극복하려고 해보셔야합니다.

    그러한 방법에는

    침실에서 잠 이외의 행동 하지 않기 (핸드폰을 본다거나, 공부를 한다거나 등등)

    정해진 시간에 일어나고 잠들기

    커피 줄이기

    금연하기

    금주하기

    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참 애매한 증상입니다. 악몽을 꾸면서 땀이 나는 것, 등이 뜨거워 지는 것은 자연스러운 반응이라 보입니다. 다만 평소에도 잠들기 전에 등이 많이 뜨겁다는 증상이나 이로 인해서 잠을 잘 못자는 것은 설명하기가 다소 어려워 보입니다. 물론 평소에 아마 불안이나 스트레스가 많은 상태가 아닐까 의심이 되기는 합니다. 그래서 열감도 느끼고 잠도 깊게 자지 못하거나 들기 쉽지 않고 악몽도 쉽게 꾸는 것이지요. 만약 긴장과 스트레스가 많다면 잠들기 전에 가벼운 운동이나 스트레칭을 하면서 심리적 긴장을 해소해 보는 것도 필요하다 보입니다. 만약 증상이 지속된다면 현재의 불편함은 수면과 관련된 증상이라 보이니 정신건강의학과에 가서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다한증으로 문의주셨습니다.
    체온조절 중추 혹은 교감신경의 과잉항진 때문에 가벼운 스트레스 상황(매운음식 등)이나 온도, 습도 변화 등에 대해서도 땀샘에서 땀의 과도한 분비가 이루어지는 증상입니다.
    이외에도 당뇨나 갑상선 질환 등의 기저질환으로 인해 이런 다한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주로 두피나 안면, 손, 발 부위에서 나타나며, 기저질환이 원인이 아니라면 시간이 지나며 저절로 좋아지는 경우도 있으며, 평상시 갑작스러운 습도변화나 스트레스 등을 피하는 등 생활적인 노력도 중요합니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좋아지지 않는다면 약물치료, 보튤리눔 톡신 주입, 신경차단술 등의 치료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피부과 내원하셔서 진료 받아 보시길 권합니다.
    답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효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숙면을 위한 방법들


    - 낮잠을 오랜동안 자면 안되십니다. (20분이상 X)

    => 보통 밤에 잠 못드시는 분중에 낮잠을 오랜동안 주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낮잠을 10~20분 자는것은 낮생활의 식곤증을 이겨내고 활발한 생활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나, 그 이상 주무시는것은 생활리듬에 영향을 줘서 밤에 주무시는데 방해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커피, 음료수, 녹차 등 카페인이 들어있는 음식 자기전 최소 7시간 전에 금하시는것이 좋습니다.

    => 주의하실것이 콜라등의 음료수에도 카페인이 들어있다는것입니다. 저녁에 식사하실때 치킨이나 피자 등을 드시더라도 콜라를 드시면 밤에 주무실때 방해받을 수 있습니다.

    - 규칙적인 운동 (단, 수면3~4시간안에 운동하는것은 X)

    -자기전에 수분을 과도하게 섭취하거나 음식을 과도하게 섭취하는거 피하셔야합니다.

    => 자기전에 과도하게 수분을 섭취하시면 새벽에 화장실에 가고싶어 잠이 깨기때문에 피하셔야합니다.

    - 자기전 흡연 금지

    => 흡연은 각성효과가 있기 때문에 최소 3시간전에 흡연하시는것을 피하셔야합니다..

    - 잠들었다 깨었더라도 시계 보지 않으셔야합니다.

    - 기상시간, 수면드는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셔야합니다.

    - 기상후 햇볕을 쬐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