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에 자주 감염되는 이유가 뭔가요?
언니가 백신 3차까지 접종하고
1차 코로나감염이 되었습니다.
약을 안먹고 자연적으로 버텨서 15일을 코로나와
싸웠답니다. 혈압이 좀 있어서 위험군이 되는지 모르겠지만
앓고 나면 항체가 생기는 거 아닌가요?
그리고 2개월이 채 안돼서 또 감염이 됐는데 면역력하고
관련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현재 우세종인 오미크론 하위변이 BA.5는 전파력이 매우 빠르며 기존 우세종인 스텔스 오미크론(BA.2 계열)보다 35%가량 빠른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전 백신 접종과 감염으로 인한 면역을 모두 회피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영국의 연구에서는 BA.5계열이 .2 계열보다 폐에 증식을 잘할 수 있으며 인후통이나 코막힘 등 증상이 더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켄타우로스 변이는 BA.5보다 무려 3.2배 더 강한 전파력을 지녔다고 합니다. 켄타우로스의 돌연변이 부위는 BA.5와 거의 겹치지 않아 오미크론 변이에 감염됐던 환자가 BA.5에 재감염되고, 켄타우로스에 다시 감염되는 재재감염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면역력보다는 변이바이러스에 의해서 기존에 형성되었던 항체의 기능이 무용지물이 되는것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에 감염이 되는 것에 작용하는 요인은 굉장히 다양하게 있습니다. 몸의 항체 역가, 기저 면역 상태, 바이러스에 대한 노출 정도, 그리고 운 등이 있습니다. 돌파감염 및 재감염은 노출력이 생기면 얼마든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코로나에 확진후 완치된 분들의 경우 생성되는 항체의 양이 작고 변이형에는 취약할수 있어서, 언제든지 재감염의 가능성은 있습니다.
확률적으로는 총 코로나재감염률은 3.9% 정도이며, 오미크론 재감염률은 약 7-10%의 확률로 재감염이 될수 있지만 주변에서 많은 사례가 있으므로 평상시 개인방역에 철저히 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신종 변이의 등장으로 인해 재감염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오미크론의 하위 변종으로 스텔스 오미크론 BA2 가 있고 이는 기존의 오미크론보다 전파력이 더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번에 추가로 하위 변종인 BA5 변이가 등장하였고
역시 스텔스 오미크론과 마찬가지고 전파력이 강하며, 면역회피성 까지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서 끝나지 않고 더 나아가 인도에서 BA2.75라는 속칭 켄타우루스라는 변이가 발견되었으며,
기존의 코로나바이러스와 매우 다른 모습을 가지고 있어 인간과 다른 모습을 가지고 있는 켄타우루스라고 불리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는 기존의 오미크론과는 물론이고 신종 변이인 BA5에 비해서도 스파이크 단백질 중 3개가 완전 다른 모습을 띄고 있어
기존의 백신이나 감염으로 인해 획득되어진 항체를 무력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신종 변이 코로나 재감염시 6개월 이내 사망률이 2배이상, 입원률은 3배 이상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