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에서의 유교사상의 장단점
뭐가 있을까요? 우리나라가 고도의 자본주의 국가가 되고 짧은 역사로 산업을 다양하게 키워왔지만 이 근본은 미국의 도움을 받고 진정한 우리의 사상이 아닌 것 같아 사회문화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 같습니다. 이에반해 장점도 존재할 것으로 보이는데, 장단점을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베트남 출신 하버드대교수인 투웨이밍은 유교 사상과 자본주의의 결합으로 두각을 나타낸 아시아 5개국(한국 일본 대만 홍콩 싱가포르)의 성장을 주장하면서 유교자본주의 동아시아의 자본주의 신유교윤리 등으로 표현했습니다. 즉 아시아의 유교사상(가족주의와 강력한 리더십 집단주의 등)이 자본주의와 결합하여 엄청난 시너지효과를 가져왔다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교는 일단 인간의 힘을 강하게 믿습니다.
춘추전국시대 가장 큰 철학중 하나인 도교의 경우는 인간의 힘을 그다지 믿지 않고 운명 등에
순응하라는 주장을 하지요. 이는 후대에 더욱 심해지면서 연금술내지는 방생술로도 빠지게 됩니다.
하지만 유교는 어떤 정해진 운명보다도 인간의 힘을 강하게 믿습니다.
인간의 노력으로 불가능한 일은 없다고 말하면 표현이 적절할 것 같군요.
유교는 가족윤리입니다.
유교의 기본윤리 핵심으로는 '효'가 있으며 이 효와 가족을 중심으로 철학이 이루어져 있습니다.
가족윤리를 강조하다 보니 부자지간의 효도, 형제간의 우애가 중시되고 이는 사회의 기반인
가정의 안정을 가져다 주지요.
유독 우리나라에서 이혼자에 대한 시선이 안좋은 것은
우리나라의 사상기반이 유교였던것과도 밀접합니다.
유교의 단점에 대해 말해보자면,
일단 유교는 계급옹호적입니다.
유교의 철학에따르면 신하는 왕을 위해 죽을수 있어야하고 아들은 어버이를 위해 죽을 수 있어야 합니 다.
과연 계급 옹호에 좋다 나쁘다의 개념이 올바른가도 논의가 될 수있겟지만
제 눈엔 그리 좋게 보이지 않군요.
철학 자체가 보수적이다 보니(특히 한국의 경우)
여성차별에 있어서도 유교가 심화시키는 부분이 있습니다.
또한 유교는 시간이 흐르면서 너무 허례허식에 빠진 부분이 없잖아 있군요.
기존의 윤리보다도
제사에 고기는 어디에 과일은 어디에 주절주절..
절은 누구에게는 몇번.. 여자는 하지말고 주절주절..
옷을 입을때 저고리는 어떻고 바지는 어떻고 주절주절..
이런것이 전혀 필요없는 것은 아니지만 조선이후 한국의 유교는 너무 허례허식적 측면이 강해진 것 같습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