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무역량은 계속 늘어날까요??
미중 패권전쟁과 자국 우선주의 정책으로 인해서 이제 세계화의 시대는 끝나가고 앞으로 세계 무역량은 정체되거나 오히려 줄어들수도 있다고 하는데 앞으로의 무역량 전망이 어떤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한국무역협회의 k-stat세계무역에 관한 수출입 통계를 보면 각 연도별 수출입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불
2021 수출액 : 22,066,837, 수입액 : 22,109,522
2020 수출액 : 17,367510, 수입액 : 17,537,698
2019 수출액 : 18,748,768, 수입액 : 18,982,714
2018 수출액 : 19,260,037 수입액 : 19,529,882
2017 수출액 : 17,498,890 수입액 :17,731,366
2016 수출액 : 15,832,302 수입액 : 16,143,952
시기적으로 보았을때 2019년과 2020수출액과 수입액이 각각 줄었는데, 2020년은 코로나의 여파로 인한 감소라고 보여지지고, 2021년에는 다시 수출이나 수입액이 회복되었습니다.
최근 몇년간 미중무역분쟁에 관한 부분들이 우리나라 업체들에게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고 최근 각 국가들의 보호무역에 관한 기사들이 나오며 실제 통상정책이 그렇게 흘러가는 부분이 없지 않습니다만,
보호무역과 자유무역은 결국에는 강대국들의 이익에 따라 순환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일부기간에 무역량이 감소한다고 하더라도 다시 회북국면에 진입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여집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세계 무역량에 대하여는 전망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말씀하신대로 무역량이 줄어드는 요인이라면 미중 무역분쟁 / 탈세계화 가속화 / 경제공동체 우선주의 등이 있을 듯 합니다. 즉, 가능한 자국이나 동맹국의 영토 내에서 물품을 소비하고자 하는 수요가 늘어나는 것입니다.
그러나, 추가적으로 무역량이 늘어나는 요인이라면 미국의 셰일오일생산감소(원유 수입 증가) / 기후변화(식량의 이동필요) / 인건비 상승(개도국으로 생산기지 이전) 등이 있을 듯 합니다.
향후 무역량의 증가, 감소에 대하여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금액의 경우 인플레이션에 따라 물품의 가격이 올라가면서 점차 증가하지 않을 까 싶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