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24.03.08

태양계의 경계선은 어떤 기준으로 정한 것인가요?

우주의 공간중에서 태양을 중심으로 태양게라는 천체의 집합을 정해뒀는데

우주의 그 넓은 공간에서 태양계라는 기준은 어떤 것들을 기준으로 태양계라고 한 것인가요?

예르를어 태양의 빛이 닿는 거리가 기준이 되는 것인지

아니면 태양의 주변을 공전하는 것이 태양계를 구분하는 기준이 된 것인지 궁금합니다

태양계인 것과 태양계가 아닌 것의 끝은 어떤 기준으로 정한 것인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에는 수많은 별과 천체가

    존재하며 그 중 태양을

    중심으로 하는 천체들의 집합을 태양계라고 부릅니다.

    넓은 우주 공간에서 어떤 기준으로 태양계를

    구분하는지 궁금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태양계의 범위를 정의하는 데는

    여러 기준이 사용됩니다

    태양의 중력은 주변 천체들을 끌어당기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태양계의 범위는 태양의 중력이

    다른 별의 중력보다 더 강하게

    작용하는 영역으로 정의됩니다.

    이 영역은 오르트 구름까지 이어지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오르트 구름은 태양에서 약 2000~200000 AU (천문단위) 떨어진

    곳에 위치한 혜성의 집합체입니다.

    태양계의 가장 바깥쪽 행성인 해왕성의 궤도는 태양계의 범위를

    정의하는 또 다른 기준입니다.

    해왕성은 태양에서 약 30 AU 떨어져

    있으며 그 궤도 너머에는 태양풍의 영향이

    크게 감소하고 다른 별들의

    중력 영향이 커지기 시작합니다.

    카이퍼 대는 해왕성 궤도 너머에 위치한 얼음 천체들의 집합

    체입니다.

    카이퍼 대는 태양에서 약 30~50 AU 떨어져

    있으며 명왕성 에리스 하우메아 등의 왜행성들이 포함됩니다.

    카이퍼 대는 태양계의 범위를

    정의하는 명확한 기준은

    아니지만 태양계 내부와 외부를 구분하는 중요한

    경계로 여겨집니다.

    태양계의 범위는 태양의 중력 영향 해왕성 궤도 카이퍼

    대 등의 기준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정의됩니다.

    우주 공간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으며 새로운

    천체들이 발견됨에 따라 태양계의 범위에 대한

    인식도 변화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전통적으로는 해왕성까지가 태양계의 범위였으나, 최근에는 오르트구름이나 카이퍼벨트 끝까지를 태양계의 범의로 보고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계라는 자체가 태양의 영향권 안을 의미하는데요.

    어느 정확한 경계선은 없고 태양계행성의 경계정도로 이해하면 될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계는 태양을 중심으로 태양계 천체들이 공전하는 공간을 말합니다. 태양계의 기준은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천체들을 포함하는 범위로 정해졌습니다. 이는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천체들이 태양의 중력에 영향을 받아 함께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태양의 빛이 닿는 거리는 태양계의 기준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태양의 빛이 닿는 거리는 태양의 영향력이 미치는 범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태양계의 경계선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태양의 주변을 공전하는 것이 태양계를 구분하는 기준이 된 것은 맞습니다.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천체들을 포함하는 범위가 태양계의 기준이기 때문입니다.

    태양계와 태양계가 아닌 것의 끝은 태양계의 경계선으로 정해졌습니다. 태양계의 경계선은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천체들과 다른 천체들의 경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태양계의 기준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태양계의 경계선은 태양계의 천체들과 다른 천체들의 중력 상호작용을 기준으로 정해졌습니다. 이는 태양계의 천체들과 다른 천체들의 중력 상호작용이 더 이상 영향을 미치지 않는 지점을 경계선으로 정한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계의 경계선은 명확하게 정해진 기준이 아닌, 여러 요인을 고려하여 설정되었습니다. 주요 기준으로는 쿠이퍼 벨트와 오르트 구름의 영향력이 있습니다.

    쿠이퍼 벨트는 해왕성 궤도 바깥에 위치한 천체들이 밀집된 영역입니다. 이 영역의 천체들은 태양풍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며, 해왕성과 궤도 공명을 일으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르트 구름은 태양계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것으로 추측되는 가상의 구름입니다. 이 영역에는 휘발성 물질로 구성된 천체들이 잠재되어 있으며, 장주기 혜성의 기원으로 여겨집니다.

    따라서 태양계의 경계선은 쿠이퍼 벨트와 오르트 구름의 영향력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 지점, 즉 태양풍의 영향력이 사라지는 지점으로 설정되었습니다. 현재 이 경계선은 해왕성 궤도에서 약 50 AU (천문단위) 떨어진 곳으로 추정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계의 경계는 여러 가지로 정의될 수 있습니다.

    헬리오파즈는 태양풍이 성간 공간으로 나아갈 만큼 강하게 작용하지 않는 지점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이 경계는 공식적으로 태양계 시스템의 가장자리를 의미하죠.

    또한 태양권의 경계에서 성간 공간으로 향하는 중성수소원자는 그 경계에 도달하면 점차 느려져 마치 교통체증이 발생하는 것처럼 된다고 하는데, 이 때문에 태양권의 경계에는 수소벽이 만들어 진다고 하며 이 수소벽을 태양계의 경계로 보기도 합니다.

    그리고 카이퍼 벨트라는 것이 있는데, 이는 태양계의 해왕성 궤도보다 바깥쪽에 있는 지역으로 소행성과 같은 천체가 밀집해 있는 도넛 모양의 영역을 말하며 이를 태양계의 경계로 보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계의 경계는 태양의 중력 영향을 받아 공전하는 천체들을 포함하며, 이러한 천체들이 태양을 중심으로 형성된 체계를 이루고 있습니다. 태양계의 경계는 태양의 중력에 의해 결정되며, 태양의 중력이 미치는 영향이 끝나는 지점을 태양계의 경계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계는 항성인 태양과 그 중력으로 묶인 주변 천체들이 이루는 체계를 말합니다.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행성은 소행성대를 기준으로 안쪽에 있는 네 개의 고체 행성인 수성, 금성, 지구, 화성 (즉, 지구형 행성)과 바깥쪽에 있는 네 개의 유체 행성인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즉, 목성형 행성)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외에도 태양계에는 소천체로 이루어진 띠도 있습니다. 화성과 목성 사이에 있는 원반 모양의 소행성대의 천체 무리는 대부분 지구형 행성과 비슷한 성분을 지니고 있습니다.

    태양계의 내부 반경은 천체가 성간매질에 진입하는 약 180억 킬로미터 (121 AU)까지 이르고, 이 경계를 태양권계면 (Heliopause)이라고 칭합니다. 또한 최근 뉴허라이즌스호의 신호 분석 결과, 태양계 경계에는 거대한 수소벽 (hydrogen wall)이 있다는 점도 알려졌습니다. 이 수소벽은 카이퍼 벨트, 즉 태양계의 해왕성 궤도보다 바깥쪽에 있는 지역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지구는 태양계의 가장자리에서 여섯 번째 행성이며, 우리가 사는 지구는 춥고 삭막하기 그지없는 태양계 경계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는 뜻입니다. 이러한 경계면은 태양계의 구성과 우주의 미스터리를 탐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