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청렴한치타291
청렴한치타291

2차대전이 진행되던 시기에, 전체주의에 대항한 세력이었던 러시아가 공산주의로 변모한 까닭은?

전체주의 라 하면

국가가 사회의 모든 부분을

단일 이념과 정당, 지도자 휘하에서

완벽하게 통제되면서

결국 개인의 자유나 다양성은 완전히 통제 악압되는 정체 체제를 말하는데요

하나의 국가이념 , 하나의 정당,

군사력의 국가 독점

언론 문화의 통제

국가주도 경제 통제 등이 특징으로

2차대전 시절에 팽배했던 이념입니다.

당시 대표 국가는 이탈리아, 독일, 일본 이며

결국 이들 국가는 국민의 단합,희생, 민족주의와 국가이익을 강조하며

타 국가를 침략대상으로 삼게 되는데

러시아는 이때

이런 전체주의에 대항해 싸운 연합국 중 하나였는데요

왜 전체주의에 대항하던 국가가

공산주의로 변모해 버린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소련이 2차 대전 당시 연합국의 일원으로 전체주의에 맞서 싸운 연합국이었음에도 공산주의를 유지한 것은 우선 1917년 러시아 혁명을 통해 이미 1922년 공산주의를 선택했었습니다. 비록 레닌은 전시공산화 정책을 추진하면서 NEP 정책을 통해 스스로 한계를 확인하고, 자본주의 경제 정책을 수용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스탈린이 권력을 잡고 전체주의적이고 독재 체제를 강화하였습니다.

    스탈린은 1939년 독소불가침 조약을 통해 중립적 태도를 보였으나 나치 정권의 소련 침공으로 스탈린은 연합국의 일원으로 가담할 수밖에 없었던 것입니다. 즉 2차 대전 당시 나치와 충돌했지만 이미 소련은 공산주의-전체주의 체제였던 것입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