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청렴한치타291
청렴한치타291

측정 방법에따라 우주팽창속도가 다르게 나온다는데 윈인이 뭔가요?

우주 팽창 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라면

크게 두가지로 분류된다고 압니다.

첫째는

거리 사다리 방식이라는 방식으로

세페이드 변광성, 타입 la초신성 emd

가까운 우주의 천체를 이용해서

단계적으로 은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은하의 적색편이를 척정해 우주팽창속도를 계산하는 방식이고

둘째는

우주 마이크로 배경복사 데이터를 활용하는 것인데

플랑크 위성등으로 137억년 전 초기 우주에 잔존하는 배경복사 분석으로

람다-CDM 표준 우주론 모델에 따라 우주팽창속도를 구하는 방식으로 아는데요.

이 두가지 방식에 따른 측정값이

최근의 측정기술의 발달로 오차가 줄어드는 상황에서도

측정값의 차이가 더 명확해지고 있다고 하는데요

이 원인은 어떤것이라고 판명된게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우주의 팽창속도를 측정하는데 있는 2가지의 방식이 서로 다른 값을 보이는 현상을 허블 텐션이라고 부르며 현재까지 이차이에 대해 명확하게 밝혀진 원인은 없습니다. 하지만 이들이 다른 값을 가지는 이유에 대해서는 데이터 분석이나 계측의 오류가 있거나 표준우주론 모델의 한계가 있지 않을까 라고 추측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