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지개, 쌍무지개 등은 어떤 원리에 의해 보이는건가요?
무지개나 쌍무지개가 어떤 원리에 의해서 보이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거 왜 비오는날즈음에 자주 보이는지 맑은날에 잘 보이비 않는 이유도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는 햇빛이 수증기 물방울을 통과하면서 이 물방울이 마치 프리즘 역할을 하여 빛이 분산되어 나타나는것입니다.
쌍무지개 역시 햇빛이 물방울을 통과하여 생기는데, 프리즘 역할을 하는 물방울 영역이 2개로 나뉘어져 있을 때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내리면 공기 중에는 물방울이 많아집니다. 무지개는 이 물방울들에 햇빛이 통과해 굴절이 일어나 여러 색깔로 나뉘어 보이는 현상입니다.
굳이 비가 내리지 않아도, 햇빛이 강한 날에 호스로 비가오는 것처럼 연출을 하여도 무지개가 보입니다.무지개는 빛의 굴절과 반사에 의해서 생깁니다.공기 중에는 수 많은 물방울이 존재하는데,
여기에 햇빛이 들어오게 되면,내부에서 굴절과 반사가 생기고, 물방울이 프리즘 역할을 하여 분산에 의해 무지개를 만들게 됩니다.
그리고 쌍무지개는 반사가 2번 되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지표면과 약 50도의 각도에 위치한 빗방울 안으로 햇빛이 두번 반사될 때,
빗방울 안에서 반사된 빛이 순서가 뒤집혀서 생기는 현상입니다.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는 하늘에 떠있는 빗방울에 의해 생깁니다. 빗방울 반대쪽에 있는 햇빛이 굴절되고 반사되어 동심원으로 보이는 빛의 굴절 현상 입니다. 빛은 공기와 물사이를 지날때 여러가지 색깔로 분광되어 휘어 집니다. 쌍무지개는 빛의 반사가 두번 일어날때 만들어 지는 현상 입니다. 보통 색상의 배열이 1차 무지개와 반대로 나타납니다. 또한 무지개는 공중에서 보면 엄청나 크기의 원형 형태를 이룹니다. 빛이 빗방울을 지날때 원뿔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그렇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