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호화로운호박벌145
호화로운호박벌14522.10.28

생수마다 맛의 차이가 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생수마다 맛의 차이가 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사실 브랜드마다 가격이 다른건 이해하겠는데, 물이 맛이 차이가 나는게 궁금합니다. 정수기든, 생수든 맛이 다 다르다고 하더라구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단단한물수리253입니다.

    우리는 평소 “물맛이 좋다”라는 표현을 사용하고는 한다. 그렇다면 물맛을 좌우하는 원소들은 무엇이 있을까.


    연구에 따르면, 맛있는 물은 칼슘과 칼륨, 나트륨, 이산화규소 등의 함량이 높은 것을, 맛없는 물은 마그네슘과 황산이온의 함량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고 한다. (이병인 외, 「물맛평가지표를 이용한 우리나라 물의 수질특성 연구」, 한국차학회, 2015 참조) 또한, 건강한 물 지표에 의하면 나트륨의 양보다 칼슘의 양이 많을수록 건강한 물이라고 할 수 있다.



  • 안녕하세요. 긍정적으로 세상보기입니다.

    좋은 질문입니다 생수의맛을 매일바뀐다는 것을 인지하시면 고수입니다 생수도생산지마다또한 자연수이기때문에 다다를것입니다 먹는사람과 생수의온도의차이로 미세하게 차이가난다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웨나이드림입니다.

    놀라우실 수 있겠지만, 생수의 브랜드가 다르고 가격이 달라도 같은 물, 같은 공장에서 포장한 물일 수 있습니다.

    생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먹는샘물이 맞는지 확인하시는 것이고,

    맞다면 수원지를 확인하시는 것입니다.

    대부분 수원지에 따라 물의 맛이 달라집니다.

    저렴한 가격의 혼합음료라고 적힌 생수는 먹는샘물이 아니기에 피하시는 게 좋습니다.


  • 물맛을 가장 크게 좌우하는 것은 물이 함유하고 있는 미네 랄 성분입니다.

    물 속에는 칼슘, 칼륨, 나트륨, 마그네슘, 규소, 황산이온, 염 소 등의 미네랄이 들어있는데요, 그중 칼슘과 칼륨, 규소 성 분은 단맛은 내고, 마그네슘, 황산이온, 염소 등은 쓴맛을 낸 다고 합니다.

    그리고 미네랄 성분 중 칼슘과 마그네슘의 양에 따라서 물 의 세기인 경도가 정해지는데, 이 경도는 물맛의 진함과 중 량감, 그로 인한 목 넘김의 차이를 만들어냅니다.

    칼슘과 마그네슘의 이온양이 경도 120mg/L보다 적으면,

    경도가 적은 물 연수하고 하며, 이 경우 물이 가볍고 목 넘김

    이 부드럽습니다. 대신 미네랄이 적은 만큼 물맛 자체의 특 징은 거의 없게 됩니다. 반대로 경도가 높은 경수의 경우(120mg/L이상), 물의 중 량감이 크게 느껴지고 물맛이 진하여 목넘김이 부드럽지 못합니다.

    우리가 평소에 즐겨 음용하는생수의 라벨지를 자세히 살펴 보면, 그 제품의 물에 함유되어 있는 미네랄 성분과 그 양이 대략적으로 표기되어 있지요. 그 성분표를 통해서 우리의 생수 기호를 어느 정도 파악해둔다면 낯선 곳 낯선 생수 제 품군 사이에서도 입맛에 맞는 생수를 찾아내는 것이 그다지 어렵지 않을 것 같습니다.

    미네랄 성분 외에 pH(수소이온농도)도 물맛에 영향을 주는 데요. pH가 7보다 낮은 산성은 신맛, 7보다 높은 알칼리성 의 물은 쓴맛이 나고, PH가 중성이면 무미이며, 약알칼리성 의 물은 단맛이 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영특한매141입니다.

    물맛을 결정하는건 미네랄성분 때문입니다

    단맛은 칼슘,규소 등 때문이고

    쓴맛은 마그네슘,황산이온,염소 등 때문입니다


    목넘김은 물의 경도차이 때문인데 칼슘과 마그네슘 양에 따라 달라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