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하스모니안 왕조가 4대에 왔을 때, 어쩌다 유다와는 상관없는 이방땅 에돔의 왕이던 안티파스가 왕이 된건가요?
하스모니안 왕조는 유대의 마카비 전쟁을 일으킬 정도로 독립투사같은 왕조였는데... 왜 갑자기 안티파스가 쌩뚱맞게 헤롯왕조가 왕이 되었는지 이해가 안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하스모니안 왕조는 셀레우코스 왕조가 지배하던 시리아 왕국 안티오쿠스 4세에 저항한 유대인들의 마카비 전쟁에서 시작되었으며, 마카비 전쟁의 승리로 인해 유다는 100년 동안 독립하게 되었고 이를 하스모니안 왕조라고 부릅니다. 마카비란 제사장 가문에 속했던 맛디아의 셋째 아들 유다의 별명이며, 하스모니안 왕조는 레위지파였지만 사독 집안은 아니었으므로 왕도 대제사장도 될 수 없었습니다. 그러나 유다 마카비가 전사한 후 그의 뒤를 이어 이스라엘을 다스렸던 요나단이 왕이면서 대제사장이 되었습니다. 이후, 알렉산더 얀네우스 왕, 그의 아내 살로메 알렉산드리아가 왕위에 있을 때 최고 황금기를 맞이하였으며, 의무교육을 실시하고, 교사양성소를 설치하면서 유대 민족은 탁월한 지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표적인 이유는 성서와 본문에서 나오듯,성전을 재건축했기 때문입니다.
안티파스2세는 로마의 정치적인 상황 변화에 적절히 대웅함으로서 유대인의 총독이 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