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날씨가 더워져 바뀐 부분들은 어떤 게 있을까요?
요즘 우리나라 날씨가 예전에 비해서 많이 더워졌다고 하는데요.
이로 인해 바뀐 부분들은 어떤 게 있을까요?
대표적으로 열대 과일들을 이제 우리나라 내륙에서도 재매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하더라고요.
이 외에 어떤 부분이 바뀌어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말씀대로 농업에서 여러가지 변화가 생기고, 모기등 전염병 전달하는 곤충들의 변화가 생기면서 전염병에도 변화가 생겼습니다. 기후변화에 의해 온열질환의 위험이 생기고, 바다의 수온변화에 따른 양식의 어려움도 있을거 같네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기후가 점점 더워지면서 다양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주로 기후변화로 인한 평균 기온 상승과 관련이 있죠. 그 결과 농업, 생태계, 일상생활 등 여러 측면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우리나라에서 재배하기 어려웠던 열대 과일들이 점차 재배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주도와 남부 지역에서는 망고, 바나나, 파파야, 애플망고와 같은 열대 과일들이 재배되고 있습니다. 기온 상승과 더불어 온실 재배 기술이 발전하면서 이런 과일들의 재배가 가능해졌습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기온 상승으로 인해 벼의 이모작(한 해에 두 번 수확)이 가능해지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주로 단작(한 해에 한 번 수확)이 일반적이었으나, 기온이 올라감에 따라 이모작이 가능한 지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기온 상승으로 인해 새로운 종류의 해충과 병해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농작물에 대한 위협을 증가시키며, 농민들이 더 많은 예방 조치를 취해야 하는 상황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열대 기후에서 주로 발생하던 해충이 국내에서 발견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일부 식물과 동물의 서식지가 북쪽으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특히 산림 생태계에서 기후 변화의 영향을 많이 받는 종들이 서식지를 이동하거나 감소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산지대에서 서식하던 일부 식물들이 더 높은 곳으로 서식지를 옮기고 있습니다.
여름철의 더위가 심해지면서 냉방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력 소비량의 증가로 이어져 전력 공급에 대한 압박이 커지고 있습니다. 반대로 겨울철 난방 수요는 상대적으로 감소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의 기후 변화는 농업, 생태계, 에너지 소비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변화를 일으키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앞으로도 심하면 심했지 더 나아지지는 않을것 같으머 계속될 가능성이 큽니다.